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d라이브러리
"
지형
"(으)로 총 92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04
특성이 있어 어디로 퍼질지 예측이 가능하다. 만약 오염물질이 지하수에 들어갔더라도
지형
등 환경 조건과 물의 흐름을 잘 조사해 대응하면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뜻이다. 박 교수는 “지하수가 흐르는 속도, 오염원의 밀도 등 몇 가지 정보만 알면 오염물질의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03
프로펠러의 방향을 바꾼 다음 일반 비행기처럼 날아가는 변신 비행기다. 복잡한 산악
지형
을 카메라로 인식하고 스스로 항로를 찾아 날아가는 자율비행 기능도 갖게 될 예정이다.]서기 2040년. 강원도 강릉에 살고 있는 대학생 이정미 씨는 친구들과 유럽여행을 떠나기로 했다. 아버지는 ‘공항까지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03
앞에 티끌처럼 작은 한 사람이지만, 지질학자로서 국내 곳곳에 숨겨져 있는 아름다운
지형
과 지질들을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일은 보람된 일일뿐 아니라 매우 기쁘다. 헤아릴 수 없는 지질작용과 기후변화에 우리 강산은 끊임없이 변할 테지만 자연의 위대함과 경건함 앞에서 우리 인간은 영원히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03
태어났지만 가장 추운 지역까지 진출해 살다니 정말 신기하죠. [오늘날 스텝
지형
(남아메리카 파타고니아).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은 이런 풍경을 봤는지도 모른다.]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해 가던 5만~1만 2000년 전 사이 유럽의 생태를 지도에 표시했다.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이 네안데르탈인의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3
장애물을 피할 수 있을까. ‘라이다(LIDAR)’는 무인차량이나 지능로봇이 주변을 스캔해
지형
을 알아내게 하는 기술이다. 라이다는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레이더와 달리 레이저를 이용한다. 레이저는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므로 레이저를 쏜 뒤 반사된 레이저가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면 장애물까지의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03
시작해 미국 남서부까지 이어진다.] [눈 덮인 호랑이 아이슬란드 북부 해안의 산악
지형
을 촬영한 모습이다. 주황색 땅에 검은색 그림자와 눈으로 덮인 고지대가 이루는 줄무늬가 어우러져 호랑이 머리처럼 보인다. ‘에이야피오뢰르’라는 이름의 거대한 피요르드 해안이 호랑이의 입을 만들고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
과학동아
l
201102
보존돼있는데다 구석기 시대의 흔적도 관찰할 수 있다. 이 밖에 독특한 지층과 해안
지형
으로 주목받는 백령도와 나리분지로 유명한 울릉도 등이 후보로 꼽히고 있다 ... ...
가장 자세한 달
지형
대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2
나사는 최근, 지금까지 촬영한 사진 중 가장 자세한 3D 디지털 달
지형
사진을 공개했어요. 지난해 쏘아올린 달정찰궤도 우주선(작은 동그라미)에 달린 레이저 고도계측기로 달 표면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를 이용했지요.레이저 고도계측기는 레이저를 쏘아 달 표면이 얼마나 높고 낮은지를 측량하는 ... ...
타임스퀘어는 어떻게 부활했을까?
과학동아
l
201101
흙끼리, 돌은 돌끼리 각각 모이며 만들어진 자연
지형
이다.인간의 집단, 즉 사회도 이
지형
과 비슷한 행태를 보인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저자는 인간을 ‘사회적 원자’라고 가정하고 물리학 지식을 이용해 행동을 분석한다. 흙 알갱이는 흙 알갱이끼리, 돌은 돌끼리 모여 분리가 일어나는 과정과 그 ... ...
NASA, 3D 달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101
레이저 광선이 반사돼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형
의 높이를 알아냈다. 고다드 우주항공센터의 그레고리 뉴먼 박사는 “1년 동안 수집해 30억 개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새 지도는 기존 지도보다 담고 있는 면적이 넓고 정확하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