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4,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과학동아 l201608
- 구덩이의 크기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발굴 도중 증거물이 발견되면 물건의 위치와 종류를 도면에 기록한다(➋). 구덩이 또한 사건 당시의 정황을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물이므로 구덩이의 크기와 형태도 기록한다(➌). 뼈가 발견돼도 발굴을 이어나가고, 뼈 전체가 노출된 뒤, 시체의 자세 및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08
- 한국에선 아직 법적으로 불가능하지만). 비슷한 방법으로 맥주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우리가 먹는 식품의 유전자조작 여부도 외부 유전자의 흔적을 PCR로 증폭해 알아낼 수 있다.실험에 필요한 장비를 노트에 차례대로 적어보니 10개 정도였다. 여기서 비용을 줄이기 위해 ... ...
- [수학동아클리닉] 부풀린 육팔면체 만들기수학동아 l201608
- 조건의 일부를 만족하는 입체도형이 있다. 바로 ‘준정다면체’다. 준정다면체는 두 종류 이상의 정다각형을 이용해 각 모서리에 모인 면의 배치가 같도록 만든 입체도형을 말한다. 축구공 모양과 같은 깎은 정이십면체, 삼각형 8개와 사각형 14개로 이뤄진부풀린 육팔면체 등이 준정다면체에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08
- 물론 모든 영장류가 다 같은 약초를 쓰는 건 아니다. 사는 지역과 무리에 따라 약초의 종류와 사용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보노보침팬지는 보통 기생충 예방에 탁월한 ‘만니오피톤 풀붐’이라는 식물을 이용하는데, 이를 씹지 않고 동그란 공처럼 말아서 통째로 삼킨다. 이 식물이 피부에 닿으면 ...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08
-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내는 것. 그런데 문제가 있다. 단백질의 수가 아직 알지 못하는 종류까지 포함해 약 8만 개에 달한다는 사실이다. 그중 무엇부터 연구해야 하는지 결정하기도 힘들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생명의료HPC연구센터는 빅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 기술을 이용해 의과학분야 ... ...
- [과학뉴스] 고양이의 물리학 수준이 이 정도과학동아 l201607
- 있다는 연구결과를 ‘동물 인지’ 6월 14일자에 밝혔다.연구팀은 고양이 30마리에게 네 종류의 상자를 보여줬다. 소리가 나면서 뒤집으면 물건이 떨어지는 상자와 소리는 나지만 물건이 떨어지지 않는 상자, 소리는 안 나는데 뒤집으면 물건이 떨어지는 상자와 소리도 안 나고 물건도 안 떨어지는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07
- 연결망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doi:10.1016/j.jalz.2015.06.1888).흥미롭게도, 세 종류의 식단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해산물과 적당한 양의 육류, 그리고 채소를 곁들인 식사라는 것입니다. 반면, 가공식품과 지방이 많은 고기, 설탕 함량은 낮다는 것도 공통적인 특징이지요.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07
- 작은 방울이 분산돼 있는 것으로 먼지나 안개도 에어로졸의 일종이다. 연구팀은 토양의 종류(16가지), 물방울의 낙하 속도 등을 변화시키며 물방울이 토양에 닿는 순간을 고속 카메라로 촬영했다. 그 결과 빗방울과 유사한 크기의 작은 물방울이 에어로졸을 만들어 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135쪽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07
- 관련이 있는 유전병의 종류는 수십 가지가 넘는다. 마땅한 치료법이 없고, 유전자를 물려준 어머니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현재까지 이 유전병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건강한 이에게서 미토콘드리아를 기증 받는 방법뿐이다. 일명 ‘세 부모 아이’가 되는 것이다. 지난해 2월 영국에서 세계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07
- 수 있도록 도와준다. 브라질 상파울루대 학생들은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쓰레기가 종류별로 분리되거나 재활용되지 않고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점에 주목했다. 양만 해도 매년 135만t에 달한다. 학생들은 승무원들이 쓰레기가 발생하는 순간 바로바로 분리해서 버릴 수 있도록 손수레의 공간을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