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키
key
비법
열쇄
관건
건반
글자판
d라이브러리
"
열쇠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앱스토어 뜬다
과학동아
l
200910
사용자들도 좋은 콘텐츠를 더 싼 가격에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앱스토어 성공의
열쇠
는 OS 호환애플의 아이폰처럼 주력 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보이는 앱스토어가 성공하려면 스마트폰마다 제각각인 운영체제(OS) 사이의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 MP3파일, 동영상 재생부터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10
특징을 이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생명과학계에서는 마이크로RNA가 불치병을 치료하는
열쇠
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미 시작된 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몸속에 있는 질병인자를 없애는 치료가 아니라 마이크로RNA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유전자가 단백질을 만드는 정도를 억제하면 된다는 ... ...
계륵(鷄肋)과 암호
과학동아
l
200909
소인수분해하는데 약 한 달이 걸리고, 400자리 정도라면 100억 년이 걸린다고 한다.공개
열쇠
암호체계를 이해하려면 어렵고도 다양한 수학지식을 알아야 하므로 여기서 소개하지 않는다. 대신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사용된 플레이페어(Playfair) 암호에 대해 알아보자. 플레이페어 암호는 영국의 찰스 ... ...
세계일주를 함께 할 조수는?
수학동아
l
200909
그리고 잠시 후, 꼬마는 무엇인가 꺼냈다."와~! 보물 상자다! 근데 어떻게 여는 거지. 음~.
열쇠
구멍도 없고 이 조각은 또 뭐지?""꼬마야, 보물 상자를 들고 뛰어.""예? 뛰라고요?""그냥 뛰라니깐! 잔말 말고 뛰어!"허풍은 꼬마의 손을 잡고 뛰기 시작했다. 영문을 모르는 꼬마는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08
경향을 일컫는다. 미국의 저명한 유전공학자 레너드 해이플릭은 노화의 비밀을 푸는
열쇠
를 유전자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그는 자신의 저서 ‘노화의 비밀(How and why we age)’에서 세포의 분열횟수에 제한이 있다는 특이한 현상을 소개했다. 그는 “세포 속에는 시계처럼 수를 세는 기능이 있다. 쥐의 ... ...
소마큐브를 업그레이드한 창의블록
과학동아
l
200907
반지는 연인끼리 사랑을 간직하는 의미로 사용됐다. 반지 외에 자전거, 알파벳, 하트,
열쇠
등 다양한 테마 제품이 있으며 난이도는 1~6단계가 있다.소마큐브웍스아이 | 1만 4000원창의블록의 ‘원조’인 소마큐브는 1936년에 탄생했다. 피에트 하인은 대학에서 양자물리학을 듣던 중 소마큐브를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06
열쇠
라면, 뉴라미니다아제는 증식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서 빠져나올 때 필요한
열쇠
다. 헤마글루티닌은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표면에 있는 시알산과 결합하도록 만든다. 그 뒤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막과 자신의 외피를 융합시켜 RNA를 숙주세포의 세포질에 넣는다.숙주세포로 들어간 ... ...
만성 바이러스 질환 치료하는 백신 개발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06
“소포체 안에 들어 있는 산화환원효소인 단백질 이황화이성질화효소(PDI)가 그 비밀의
열쇠
를 쥐고 있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이미 PDI가 산화환원효소로서 여러 가지 생화학 반응에 관여하며 단백질의 입체 구조를 바꾼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연구단은 PDI가 펩티드를 운반할 수 있다는 점에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05
혈관을 만드는 단백질에 달라붙어 비정상적인 혈관이 자라는 일을 막는다. 자물쇠를
열쇠
로 잠그듯 표적분자의 기능을 잠가버리는 셈이다.동국대 의생명공학부 김소연 교수는 “매쿠진이 개발된 뒤 여러 나라에서 RNA 앱타머를 이용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라며 “시중에서 RNA 앱타머 치료제를 쉽게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04
지금까지 미스터리다”라며 “지금 두 번째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이 그 비밀을 푸는
열쇠
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폴리넬라와 시아넬의 공생은 적어도 6000만 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연구자들은 “진핵생물에 포획된 남조박테리아가 광합성과 관련이 없는 유전자를 잃어버리면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