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쥐에 서로 다르게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거예요.연구에 참여한 루돌프 재니쉬
박사
는 “인간의 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앞으로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
[도전! 섭섭
박사
실험실] 알록달록 무지개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무지개를 좋아해서 머리카락까지 무지개 색으로 염색한 섭섭
박사
님! 그런데 요즘엔 무지개를 통 못 봐서인지 섭섭
박사
님은 무척 섭섭해 하고 있어요. 어떻게 하면 섭섭
박사
님의 기분을 풀어 줄 수 있을까요?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파란색 수탉이 나타났다?! 수탉의 볏과 부리 밑에 늘어져 있는 육수까지 꼭 닮은 이 식물은 ‘닭의장풀’이에요. 여름철 풀밭이나 개울가 등 습한 곳을 지나다 보면 파란색 귀를 쫑긋 세운 것 같은 닭의장풀을 만날 수 있지요. 이 파란색 꽃 모양이 닭볏과 육수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답니다.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02
국내에서는 지난해 8월 황교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박사
팀이 그래핀 위에 수십 ㎛ 패턴을 구현해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앞 쪽 ➏). 지난해 3월에는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사람의 날숨을 통해 질병과 관련된 유기화합물 ... ...
[Origin] 행복은 디테일에 있다
과학동아
l
201702
부분적 요소 하나에만 집중할 때 생기는 착각을 ‘초점 착각’이라고 불렀다.카너먼
박사
팀은 실험 참가자들에게 연간 소득이 적은 사람(2만 달러 이하)과 많은 사람(10만 달러 이상), 또는 40세 기혼과 미혼 여성 중에서 누가 더 불행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소득이 적거나 40세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02
빛 흡수 능력에 좌우된다. 조 교수는 “(제가 연구했던) 나노광학 분야가 당시 백
박사
님이 연구하는 태양전지의 한계를 넘어서게 할 열쇠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기존의 반도체 표면 위에 특정 패턴을 가진 나노물질을 형성시켜 광흡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발상이었다. 조 교수는 ... ...
Part 1. 변종 플루 HXNX
과학동아
l
201702
속에서 간지럼이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것 같다. 아아, 예전에는 이걸 설렘이라고 불렀지!K
박사
의 요란한 수다와 함성 사이로 눈부신 햇살이 비친다. 아침마다 이 세상에 뜨고 지는 해는 딱 하나뿐이지만, 이상하게도 어제까지 봤던 해와 다르게 보인다. 저것은 S구역이 아닌, 예전에 고뿔이와 함께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702
면역반응이잘 일어나고 면역원성도 강해진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제프리 보잉턴
박사
가 그린 인플루엔자 범용 백신의 원리.H1N1과 H5N1 아형 바이러스의 HA 단백질에서 유전적 차이점을 빨간부분 으로 표시했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HA 단백질은 머리 부분에서는유전적 변이가 잦지만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1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
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과학뉴스] 속닥속닥~, 박테리아의 대화를 엿듣는 아메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박테리아의 화학물질에는 활동성이 높아진 거예요.연구를 이끈 크리스틴 슐츠봄
박사
는 “이번 연구는 어둡고 미로 같은 흙 속에 사는 원생생물이 어떻게 먹이를 찾는지 알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어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