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매
키
신장
풍채
체격
d라이브러리
"
몸집
"(으)로 총 532건 검색되었습니다.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10
초파리의 miR-8이 성장을 조절함을 규명한 논문을 실었다. miR-8 유전자가 고장난 초파리는
몸집
이 작았다. 김 교수팀은 사람의 miR-200이 초파리의 miR-8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이런 업적 때문에 김빛내리 교수는 한국에서 노벨상에 가장 가까운 과학자로 손꼽힌다.유전자 절반 이상이 ... ...
특명! 호주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느린 속도로 움직일 때에는 쥐를 닮았답니다. 왈라루붉은캥거루나 회색캥거루보다
몸집
이 조금 작은 캥거루. 수컷의 털은 검은색이며, 암컷은 회색털을 갖고 있답니다. 붉은캥거루털이 붉은색이어서 붉은캥거루라고 불러요. 우리가 흔히 캥거루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캥거루가 ... ...
돈이 움직이는 두 갈래 길
수학동아
l
201008
투자은행이 많이 위축됐다.상업은행과 투자은행 투자은행은 회사의 자금력을 키우고
몸집
을 불려 주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하고 팔아서 회사에 자금을 공급하거나, 다른 회사를 사들여 더 큰 회사로 만드는 일을 돕지요. 파생상품을 다루는 것도 투자은행의 몫입니다.그런데 ... ...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07
움직임을 함수로 표현하기도 한다. 바로 날개의 크기와 비행 속도의 관계가 그렇다. 각각
몸집
과 비교하여 날개가 큰 ‘호랑나비과’의 비행과 날개가 작은 ‘팔랑나비과’의 비행을 통해 알아보자. 날개가 큰 나비는 비교적 느린 속도로 날고, 날개가 작은 나비는 공기의 저항을 적게 받아빨리 나는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6
차리려 머리채를 두어 번 세게 흔드는 참이었다. 스르륵! 천지관 문이 열렸다. 거대한
몸집
과는 달리 바람처럼 가볍게 열리는 문……. 안으로 들어가자 빙 둘러진 담장 아래로 여러 채의 기와지붕이 보였다. 산적들의 소굴이 이렇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지오는 몸서리를 쳤다. 뚝뚝뚝! 탕탕탕! ... ...
뛰어난 ‘사시’ 사냥꾼
과학동아
l
201006
선다. 부레 안에 들어 있는 공기의 양을 조절해 뜨거나 가라앉는다.지느러미가 있지만
몸집
에 비해 아주 작아 헤엄치는 속도가 엄청 느리다. 등 아랫부분에 뿔처럼 달려 있는 것이 등지느러미, 머리 양옆에 귀처럼 붙어 있는 것이 가슴지느러미다.아무리 게으르고 느려터진 해마라도 눈알 굴리는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06
모양으로 나타났지. 특이하게도 이들은 모두 앞발자국으로 뒷발자국은 하나도 없었어.
몸집
큰 네 발 공룡이 앞발로만 걷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야. 학자들은 용각류가 물속에서 뒷부분이 뜬 채 앞발로 걸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미국 텍사스 주에서도 비슷한 발자국이 발견된 적이 ... ...
사건파일 3 공룡폭행사건
수학동아
l
201006
보존하는 능력은 부피에 비례하고 열을 방출하는 능력은 표면적에 비례하거든. 그래서
몸집
은 키우되 표면적은 줄이기 위해 공룡은 길고 가는 목과 꼬리를 가지게 된 거야.그럼에도 공룡 사이의 먹이 다툼은 영원히 풀 수 없는 문제라고 할 수밖에…. 먹을 것이 자꾸 줄어드는데 함께 살 방법을 찾지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숲의 농부 역할을 하는 셈이다.산양은 풀을 뜯어 먹고 살지만 풀을 건강하게도 만든다.
몸집
이 큰 초식동물은 그만큼 풀도 많이 뜯어 먹는다. 산양도 ‘대식가’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이들이 먹은 풀을 살펴보면 뿌리째 뽑힌 것은 하나도 없다. 단지 풀 끝자락을 톡톡 끊어 먹을 뿐이다. 그런데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06
에너지도 신갈나무, 소나무의 두 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시간과 면적에서
몸집
을 키우는 비율이 다른 수종에 비해 무척 높기 때문이다. 이는 대나무가 미래 바이오에너지로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나무 같은 유기물을 직접 또는 생·화학적, 물리적으로 변환시켜 연료나 에너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