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수축
쇼트닝
절감
제한
짧은지름
요약
d라이브러리
"
단축
"(으)로 총 48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5
가장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전구형 형광등은 이보다 온도가 높아져 수명을
단축
시킨다. 또 수은원자가 방출하는 자외선 양이 줄어들어 효율도 떨어뜨린다.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구형 형광등은 3파장 형광물질을 사용한다. 이 때문에 전구형 형광등이 3파장 전구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3파장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04
스윙바이 비행방법을 적용한 보이저 2호의 비행시간과 비교해보면 비행시간이 무척 많이
단축
됐음을 알 수 있다.파이어니어와 보이저 탐사선은 화성 밖의 외행성에 대한 수많은 자료를 우리에게 보내주고, 인간의 손길을 태양계 끝에까지 전해주었다. 21세기에는 명왕성을 비롯한 태양계 내의 모든 ... ...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
과학동아
l
200002
처음에는 약 10분 간격으로 진통이 오다가 점점 진통의 간격이 줄어들어 약 1분 간격으로
단축
된다. 그리고 진통의 활성기, 즉 아이가 막 나오려는 때가 임박하면 30-90초간 자궁수축이 지속된다. 이때는 그야말로 자궁이 쥐어짜는 듯한 엄청난 압력이 생긴다. 이때 산모는 자궁자체가 수축하는 힘과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12
모두 조사한다면 1만일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말이다.그런데 최근 획기적인 시간
단축
법이 개발됐다. 불과 몇시간 내에 1만개 유전자의 구조를 알아낼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원리는 간단하다. 간세포의 RNA를 얻은 후 이를 특수 처리해 DNA 구조로 바꾼다. RNA는 구조가 다소 불안정하기 때문에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12
것이었다. 당연히 서양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해부학이나 원근법, 명암법,
단축
법 등 과학적인 원리를 총동원해서 초상화를 그렸다. 그런 점에서 서양의 초상화는 우리나라의 초상화보다 실제의 모델을 더 사실적으로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우리나라의 초상화는 대상 자체의 1차적인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10
1995년에 발사된 1호의 수명이 다했기 때문. 발사사고로 10년을 내다봤던 수명이 4.5년으로
단축
되면서 2호와 짝을 이룰 위성이 필요했다. 그러나 3호를 기존의 1, 2호와 똑같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비록 1호를 대신하기 위해 발사됐지만 3호는 지난 5년의 세월 만큼이나 많은 기술적인 진보를 이뤄냈다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07
감염된지 2주 내에 사망한다. 놀랍게도 이번 마버그 바이러스는 그 기간을 불과 이틀로
단축
시켰다. 과학자들이 바이러스의 정체를 밝히기 어려운 점 가운데 하나가 바로 금방 사망하기 때문이다. 숙주가 사망하면 바이러스 역시 죽기 마련이다.최근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한 뇌염 역시 새로운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06
미술가였다. 이탈리아 미술가들이 과학적 원근법으로 뼈대를 세우고 해부학과
단축
법으로 인체를 표현한 반면, 반 아이크는 다른 방법을 택했다. ‘아르놀피니의 약혼’(7)이라는 그림을 보자. 반 아이크는 해부학에 맞춰 뼈대를 세우는 이탈리아의 르네상스화가들과는 달리 한 사물을 끈기 있게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소금 용액에 처리하고 여기에 질산은이 스며든 필름을 만들었다. 노출시간은 10초 내외로
단축
시켰다. 이 방식은 캘러타입(calotype)이라 불리는데, 그리스어로 ‘아름다운 그림’이란 뜻이다.1851년 영국의 아처는 유리판을 필름으로 사용했다. 유리에 요오드칼륨이 용해된 콜로디온을 부은 후 ... ...
① 테크노크라트
과학동아
l
199903
항공기 및 통신장비 등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인삼 생육기간 반으로
단축
그렇다면 민수 분야에는 어떤 과학기술자들이 있을까. 북한에서 식량난 해결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연구기관은 농업과학연구원이다. 농과대학(북한식 명칭은 농업대학)으로는 원산농업대학,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