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립과학관
국립
d라이브러리
"
과학관
"(으)로 총 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10
보였다. 아톰이 걸어나오는 듯했다. 아시모는 2002년 연봉 2억원을 받고 도쿄에 있는 일본
과학관
의 안내원을 맡는 등 지금도 곳곳에서 인기를 모으고 있다.이제 한국에서도 아시모에 견줄만한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이 탄생을 앞두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오준호 교수팀(기계공학과)이 개발한 ...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본다
과학동아
l
200410
과학과 과학학 사이의 대화와 협력을 기대하는 것이 저자의 바람이다.사회구성주의
과학관
에 대한 소개와 비판은 이미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문학과지성사, 1999)에서도 다룬 적이 있다. 이 책은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과학사회학과 과학철학의 연구성과를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07
國立科學館)이 주관하여 교육부·농수산부·상공부·동력자원부의 후원하에 매년 국립
과학관
전시설에서 열리는 전람회 심장의 영양공급 혈관인 관상동맥이 경화하여 생기는 허혈성(虛血性) 심장질환 관상동맥의 내강에 지방·콜레스테롤·석회 등이 침착하여 협착 또는 폐색을 일으켜 심근(心筋)의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6
웰빙 바람과 함께 전통미와 친환경성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 천연염색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직장에서는 천연염색 유니폼이, 가정에서는 황토옷이 유행이다. 역대 영부인들도 전통기법의 천연염색으로 우아하고 세련된 연출을 즐겼다고 한다. 백화점 문화센터에 개설된 강좌에는 천연염색을 배우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05
오전이라서 그런지
과학관
은 한산했다. 울산에서 온 교사 10여명과 기자를 반갑게 맞는
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의 정동찬 실장은 관람에 대해 이처럼 자못 거창한 의미를 부여하며 안내를 시작했다.3백50만년 전 인류의 발자국 화석 몇걸음 걸어가자 발자국 화석과 함께 옛사람이 보인다. 가까이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04
향수를 자극하는 고향 시골집의 맛. 그 맛의 비결은 과연 무엇일까. 지난해 12월 국립중앙
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팀은 수년간 연구끝에 무쇠솥 밥맛 비밀이 솥의 구조에 숨어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무쇠솥밥이 다른 밥솥으로 지은 밥보다 색깔, 윤기, 냄새, 찰기, 끈기가 더 좋다는 결론을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01
손목시계를 보니 실제로는 2시다. 왜 앙부일구와 손목시계의 시간이 다를까. 국립중앙
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 윤용현 연구관은 “조선시대에는 지금처럼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의 경도를 중심으로 하는 표준시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현재 각 나라에서는 그리니치 천문대와 ... ...
체험 과학 웹사이트 explortorium.edu
과학동아
l
200401
시설을 갖춰 다양한 과학적인 현상을 재현하거나 직접 경험해볼 수 있다. 오프라인 체험
과학관
을 토대로 구성 사이트로,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드문 온라인 체험장이다.탐험(explore)에서 체험활동(hands-on activities)을 선택하면 5백여 가지의 간단한 실험을 체험해볼 수 ... ...
인간 닮은 로봇 총출동
과학동아
l
200401
유명 로봇과 영화에서만 볼 수 있었던 희귀 로봇이 방학을 맞아 12월 20일부터 서울국립
과학관
에서 소개되고 있다. 국산 휴머노이드의 테이프 커팅으로 시작된 이번 행사에는 한국과 일본 두나라에서 출품된 2백여점의 실제 로봇과 모형이 전시된다.진기한 로봇들 다나와이번 전시회에는 인간과 가장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싶다. 예를 들어 올해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서울
과학관
본관 4층에 개설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을 생각해보자. 여기에는 고려시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업적을 쌓은 과학자 14명의 생애와 유품이 전시됐다.그런데 우리나라에 종두법을 전파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