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2,88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08
자연스레 단백질을 만들 수 없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목표로 하는 mRNA에 정확히
결합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목표에 완전히 상보적인 유전자 서열이 종에 구분없이 잘 보존돼야 한다.최근에는 짧은 비암호화 RNA의 한 종류인 마이크로 RNA(miRNA)가 암세포에서 지나치게 많이 발현되는 것이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08
중성화해 음전하를 띤 DNA와 히스톤을 분리시키고, 전사에 관여하는 다른 요소들이 DNA에
결합
할 수 있게 한다고 생각했다. 같은 해에 효모에서 전사를 억제하는 Rpd3p 단백질이 포유류의 탈아세틸효소와 비슷하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DNA를 감는 실패 역할을 하는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DNA를 풀었다 ... ...
수영장 냄새, 알고 보니 소변 냄새
과학동아
l
201508
충격적인 사실을 밝혔다. CDC에 따르면 염소는 인간의 소변에 포함된 질소 화합물과
결합
해 눈을 충혈시키는 화학물질을 만들어낸다. 이 화학물질을 없애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염소를 살포해야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CDC는 “실내수영장의 경우 유해한 화학물질이 공기 중으로 퍼져 기침이나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08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다. 공유경제에 사물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결합
해 새로운 서비스와 수익모델을 만든 것이다. 박 대표는 평소 70% 이상 비어 있거나 부정주차로 사용되는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을 사물인터넷 센서를 통해 공유되는 유료 주차장으로 만들었다. 이를 위해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08
입구(휴보2 데몬모듈)는 따로 분리할 수 없지만, 각 방은 기능을 사용할 때만 일시적으로
결합
하면 된다. 이렇게 만들면 장점이 있다. 서재방에 불이 나도 집 전체가 불에 탈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서재방만 따로 떼어내면 되니까.실제 대회에서도 이런 소프트웨어 구조는 큰 도움이 됐다. 이 대표는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08
줄 알아야 자신이 원하는 작품을 마음대로 만들 수 있다. 브릭과 플레이트를 어떻게
결합
해야 결과물 전체의 길이가 같아지는지 살펴 보자.기본 성질➊ 브릭 5개 높이 = 1×6 브릭 긴 변의 길이 ➋ 브릭 1개 높이 = 플레이트 3개 높이스터드 개수가 짝수일 때1×2$n$꼴의 스터드 개수가 짝수인 브릭은 긴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7
세월호를 일으켜 세울 수 있다. 곧이어 반잠수식 인양선 두 대를 세월호 옆면에 붙여
결합
시킨다. 그 상태에서 인양선의 평형수를 배출하면 부력으로 세월호를 띄워 올릴 수 있다. 박 교수는 “가장 손쉽고 안전한 방식”이라면서 “비용도 다른 방식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말한다.하지만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7
바닷속으로 흘러 들어왔다. 철은 산소가 없을 때는 물에 녹지만, 산소가 있으면 산소와
결합
해서 산화철 형태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시루떡처럼 쌓이게 된다. 간혹 화산 활동이 잠잠할 때는 바닷속에 많던 규산염이 대신 퇴적됐는데, 이 때문에 검붉은 산화철층과 밝은 규산염층이 번갈아 나타나는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07
몸으로 남편인 존 내쉬를 정신병원에 입원시켜야 했다. 법적으로는 중간에 이혼한 뒤 재
결합
했지만, 평생을 남편과 아들을 돌봤다. 남편의 아벨상 수상을 보기 위해 노르웨이에 동행했다가 비운의 교통사고로 한날한시에 운명했다. 노벨경제학상을 안겨 준 게임이론내쉬는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07
번개가 치고 지나간 자리에는 뜨거운 열기가 남는다. 그러면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가
결합
해 산화질소가 된다. 산화질소는 빗방울에 녹아 질산염이 돼 땅으로 떨어지고 흙 속으로 스며든다.식물은 흙 속에 있는 물과 양분과 함께 질산염도 빨아들인다. 이런 식으로 식물이 얻는 질산염은 매년 910억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