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단 어려운 인대 부상, 레이저로 선명하게 판독
동아사이언스
l
2018.04.09
이 각도가 2도만 벗어나도 영상 신호가 사라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 기술을 쓰면 레이저
빛
을 쪼여주는 방향과 관계없이 일정한 신호가 발생 되므로, MRI 등과 달리 영상을 촬영할 때 발생하는 왜곡도 줄일 수 있다. 엄태중 박사는 “기존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힘줄의 광흡수 특성을 ... ...
[세상을 바꿀 5G 이야기] ② 1초에 2GB씩 주고받는 밀리미터 웨이브
2018.04.09
있습니다. 꼭 빠른 네트워크가 유선이어야만 할 이유는 없습니다. 기술적으로 전파는
빛
의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대역폭만 충분하다면 무선이 유선보다 더 빨리 통신하는 것이 무리는 아닙니다. 일단 5G는 기본 3.5GHz~4.5GHz대에서 꽤 넉넉한 주파수 대역폭을 갖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수도관이 ... ...
블랙홀, 얼마나 많나...우리 은하 중심에만 1만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태양의 수 배에서 수 백배에 달하는 별들은 밀도가 커지면서 수축해 블랙홀이 된다.
빛
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블랙홀이 우주 공간에 홀로 존재한다면 우리가 그 위치를 찾을 방법은 없다. 대신 두 블랙홀이 서로 가까이 위치해 쌍성계 블랙홀을 이룬 뒤 합병할 때 이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
90억년 밖...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8.04.03
청색 초거성을 발견, '이카루스'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번 발견은 은하계의 중력이
빛
을 구부려 그 뒤에 있는 천체가 확대되어 보이는 '중력 렌즈' 현상 덕분이었다. 50억 광년 거리의 은하계가 90억 광년 떨어진 별을 확대해 보여주는 거대한 '우주 망원 렌즈' 역할을 한 셈이다. 통상 이같은 ... ...
[스타트업 성공의 가설] 악플 안녕~소셜댓글 정착시킨 시지온의 성공방정식
2018.04.02
드디어 블로터닷넷이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렇게 2010년 8월 드디어 라이브리가 세상의
빛
을 보게 됐다. - 정재기 기자 제공 결과는 대박이었다. 전체 댓글이 늘면서도 악플은 현저히 줄었다. 처음 트위터에서 목격한 현상이 그대로 재현됐고 'SNS ... ...
추락하는 ‘톈궁 1호’ 8시 50분경 한국 상공 지난다…최종 추락지점은 남대서양 인근
동아사이언스
l
2018.04.02
공중에서 폭발하거나 2~3분 내에 지상에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나오는 강한
빛
을 직접 보면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건물 안에서는 창가가 아닌 단단한 벽 뒤처럼 안전한 곳에 숨는 것이 안전하다. 톈궁 1호는 중국이 2011년 9월 지구저궤도(상공 약 360㎞)에 쏘아 올린 중국 최초의 ... ...
[팔라우 힐링레터] 세상을 거꾸로 보는 '면도날 고기(Razor Fish)'
2018.04.01
(Razor Fish)라고 불리운다. 사실 이들은 위험한 어류는 아니지만 움직일 때마다 번쩍이는
빛
으로 상대에게 위협감을 주기도 한다. 이들은 단체로 모여 생활한다. 기다란 입으로 산호초에 숨어 있는 것들을 포식하면서 살아간다. 대부분 산호 주위에서 살아가면서 수중사진가들에게 좋은 작품을 ... ...
외계행성 찾으러… 시야 400배 커진 우주망원경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규모의 우주망원경이다. 렌즈의 지름만 허블의 약 3배인 6.5m에 이른다. 그만큼 희미한
빛
도 잘 감지할 수 있다. 허블은 10억 광년 거리까지 볼 수 있지만, JWST는 135억 광년 거리까지 관측 가능하다. 또 지구저궤도를 돌았던 허블과 달리 지상에서 150만 km 떨어진 라그랑주점(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 ...
암흑물질 거의 없는 은하 첫 발견… 우주론 뒤집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발견될 당시에는 암흑물질이 많은 ‘초분산 은하(UDG)’로 분류됐다. UDG는 큰 부피에 비해
빛
이 희미한 은하로, 암흑물질이 물질인 별보다 수백 배가량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예측대로라면 별의 질량이 태양의 2억 배인 NGC 1052-DF2의 암흑물질은 태양 질량의 560억 배 이상이 돼야 한다. ... ...
피부 노화,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일반적인
빛
(가시광선)으로는 관측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피하조직까지 도달할 수 있는
빛
인 근적외선에 주목했다. 근적외선을 내면서 엘라스틴 단백질에만 결합하는 후보물질을 개발한 뒤, 토끼의 동맥 단면에 발라 실제로 엘라스틴 관측을 가능하게 해주는 물질 엘라니르를 최종 선정했다.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