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4,129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새 연구단 2개 신설…'중이온가속기' '양자정보'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IBS는 한 단장의 국제 연구 경험이 현재 구축 중인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과
결합
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장 선임을 맡은 평가위원회는 “한 단장은 희귀 동위원소 가속기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9개 대학, 13개 연구그룹 간의 협력 연구를 이끌 최적의 인물로 평가된다”며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점이다. 뜨거운 물은 찬물보다 에너지를 더 많이 축적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시 공유
결합
이 길어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속도도 더 빠르다. 연구팀은 이를 종합해 뜨거운 물의 특성상 에너지를 더 빨리 방출할 수 있어 찬물보다 더 빨리 냉각된다고 설명했다. 얼음속, 준액체층을 찾아라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질량보존분석법을 활용해 빙하의 움직임 정보를 얻고 이를
결합
해 해상도를 두 배 높였다. 그 결과 남극 동쪽 덴먼 빙하 아래에서 해수면 아래 3500m 깊이의 세계에서 가장 깊은 협곡이 발견되는 등 남극대륙의 다양한 특성이 드러났다. 스웨이트 빙하 인근의 지형도다. 내륙 ... ...
인류 最古 동굴벽화 기록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2
가장 오래된 벽화보다도 무려 4000년이나 앞선 것이다. 사람과 동물 형상이
결합
된 상상의 산물인 ‘반인반수’ 형상도 포함돼 있어, 인류가 상상력의 세계에 발을 디딘 시점도 앞당겨졌다는 평가다. 영국 그리피스대와 인도네시아 국립고고학연구센터 공동 연구팀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 ...
고분자 단백질 스스로 형성하는 ‘자기조립’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킬레이트성 아미노산은 금속이온과 선택적으로 강한
결합
을 하는 특성이 있다. 연구팀은 킬레이트성 아미노산을 적용해 단백질 자기조립체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킬레이트성 아미노산의 위치에 따라 선형, 평면형, 복합형, 계층형 등의 구조의 선택적 생성을 ... ...
RNA로 폐암 단백질 잡는 치료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일부 RNA 가닥을 차단하는 것이 이 부분과 상보적으로
결합
할 수 있는 간섭RNA다. 문제는 RNA가 DNA에 비해 구조적으로 불안정해 체내에서 표적까지 도달하지도 못하고 도중에 분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RNA가 나노구조체 형태를 띠면 USE1 유전자 표적에 ... ...
0.5nm 초박막 다이아몬드 제작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화학 반응을 일으켰다. 이 과정에서 주변 3개 원자와
결합
하던 탄소가 4개의 원자와
결합
했고, 탄소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진 대신 불소의 높이가 추가돼 총 두께가 0.5nm인 필름 형태의 박막형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졌다(위 사진 오른쪽). 이는 이론으로 예측된 구조와 정확히 일치하는 형태였다. ... ...
北, 서해발사장서 어떤 시험?…'ICBM고체·위성용엔진' 추정(종합)
연합뉴스
l
2019.12.09
"동창리 엔진 테스트베드(Test Bed)는 액체추진형"이라며 "북한이 1단에 4개의 엔진을
결합
하면 320tf의 추력을 낼 수 있는데 이는 한국형 위성발사체와 유사한 추력"이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북한은 지상 1m 안팎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위성용 정찰) 카메라를 개발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춘근 ... ...
초정밀 회로 인쇄기술로 스마트콘택트렌즈 시대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8일 밝혔다. 시력을 교정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소프트렌즈에 전자장치를
결합
한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눈물 성분을 분석해 건강을 확인하거나 AR를 구현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신체에 밀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지만 지속해서 전기를 공급하는 ... ...
한일 과학홍보 담당자와 청년과학자가 바라본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한계와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보도한 사례가 크게 늘어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심 본부장은 과학이 이슈와
결합
했을 때만 보도되는 것도 최근 과학 보도의 특징이라고 짚었다. 심 본부장은 “일본의 수출규제 사례처럼 이슈와 연구 접점이 됐을 때만 과학이 부각이 되더라”며 “예를 들면 인류 조상의 기원이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