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하늘로 날아오른다수면 위를 최대 40초 동안 시속 70km로 400m를 한번에 날 수 있는 날치.
존재
만으로도 신비로웠던 날치의 비행 메커니즘은 지난 2010년 밝혀졌다. 최해천 서울대 교수팀이 영국 과학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에 날치의 비밀을 밝힌 것. 날치는 폭이 15cm인 양 지느러미(가슴지느러미과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가졌지. 호크아이 같은 보통 인간보다 20배는 멀리 볼 수 있으니 호크아이가 매의
존재
를 눈치채기도 전에 바로 탁! 잡는거지.수중전이라면 피라니아가 좋겠어. 호크아이의 화살은 물속을 뚫고 적군을 무찌르겠지. 하지만 흙탕물이면 호크아이도 별 수 없지. 상대가 보여야 활을 쏠 테니까.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약 30억개가 있지만 와편모류는 대다수 300억개가 넘는다. 최대 2900억 개가 있는 종도
존재
한다. 유전정보가 염기서열 속에 담겨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와편모류는 엄청나게 많은 유전정보를 갖고 있는 셈이다.도대체 와편모류의 이런 엄청난 DNA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아직은 명확한 답이 없다. ... ...
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무려 100억 배인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기도 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은 왜
존재
하는 것일까. 이들은 어떻게 이런 거대한 덩치를 키웠을까. 이런 의문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지만 최근 천문학자들은 이에 대해 하나 둘 답을 하기 시작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의 괴수 ... ...
우주 불꽃놀이 ‘거대 플레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강한 태양 플레어는 1859년 9월 1일 관측된 것으로, 이 때 처음으로
존재
가 확인됐다.마에하라 히로유키 일본 교토대 천문학과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2009년부터 반복해서 관측해온 약 8만 3000개의 태양형 항성의 관측 자료를 분석했다. 이 중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협업환경의 이상향을 ‘텔레프레전스(Tele-presence)’라 명명했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그
존재
를 느낄 수 있다는 뜻이다.“단순히 통화하고 자료만 주고받는 수준을 구현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서로 다른 곳에 떨어진 실험실이 꼭 붙어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고 싶습니다. 이를 위해 ‘지능형 ... ...
전기정보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생활 전반에 전기공학이 사용되지 않은 곳은 찾아볼 수 없을 정도다. 과학은 이미
존재
하는 것을 규명하는 성격의 학문이지만 공학은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학문으로 인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현대 사회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주를 완벽히 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로 계산한 우주는 컴퓨터 안에서만
존재
한다는 한계도 있다. 더 궁극적인 문제는 우리가 이 우주의 실체를 확실히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컴퓨터로 계산한 우주는 우리가 우주를 관측하는 방식을 모델로 구현한 것이다. 컴퓨터로 재구성하는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예상했다.우주에 질량이 태양의 수 배에서 수백억 배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블랙홀이
존재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블랙홀에 대한 미스터리는 오히려 깊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한 동안은 많은 뛰어난 과학자들이 블랙홀의 매혹에 빠져 헤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 경우에도 생식능력은 없지만 겉모습은 여자가 된다. 사람은 초파리와 달리 Y염색체의
존재
가 남자냐 여자냐를 결정한다는 뜻이다.이후 성별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Y염색체에서도 아주 작은 조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SRY(Sex-determining Region on the Y chromosome)라는 유전자가 주인공이다. 영국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