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원형
대양
원양
서클
화성
일치
d라이브러리
"
원
"(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후지필름에 이미지 테이터를 보내면 3D 프린트 입체 사진을 받을 수 있다. 후지모토 연구
원
은 “3D 카메라는 인간의 시각체계를 재현한 최초의 범용 카메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글 강석기 기자 sukki@donga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가장 우려되는 점은 기술적 허점이 아니라 사람에 의한 보안 사고다. 전력회사 직
원
이 의도적으로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실수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e메일을 열어본다면 재앙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다.하지만 이 같은 우려에도 스마트 그리드를 향한 속도는 갈수록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 ...
혈액형 진실게임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보면 O형이 가장 많은 혈액형이다. 혈액을
원
심분리하면 크게 세포성분인 혈구부분과 액체성분인 혈장으로 나뉜다. 이때 혈장에서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피브리노겐(섬유질) 성분을 제거하면 혈청을 얻을 수 있다. 혈청은 오줌 색깔과 비슷한 옅은 노란색을 띤다. ... ...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친구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기억해 두자! 왜 October는 8월이 아니고 10월일까? October도
원
래는 8월을 의미했다. 그런데 고대 로마에서 3월을 새해 첫째 달로 계산해 8번째 해당하는 달이 October였다. 하지만 3월 앞에 1월과 2월을 도입해 새해 첫 달을 1월로 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October는 8번째 달에서 1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있겠지. 사각형 안에는 홀수를,
원
안에는 짝수를 써 이 계산을 완성하는 거다.사각형과
원
안에 들어갈 숫자는 같을 수도 다를 수 도 있어.”“에헴, 날라리라니? 이 가짜 금마니가 감히…. 도형아 가자! 진짜 금마나를 찾아야지.”허풍은 큰소리쳤지만 막상 혼자 가지는 못하고 도형의 눈치만 살살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훌륭한 공부가 되는 거지.이 놀이는 여러 개의 동전을 앞면(그림)·뒷면(숫자)을 섞어
원
형으로 배열한 뒤 규칙에 따라 동전을 뒤집어 모든 동전을 없애는 것이 목적이야. 그렇지만 무조건 동전을 없애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야. 여러 개의 동전을 준비한 다음에, 적당히 앞면과 뒷면이 섞이도록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둘러싸 파도를 이겨내고 있다. 하나에 수십만
원
에서 수백만
원
하는 테트라포트가 4개의
원
통 모양으로 생긴 이유는 뭘까?테트라포트는 정사면체의 한가운데에서 각 꼭지점을 잇는 선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이다. 정사면체는 모든 다면체 중에서 무게중심이 가장 아래에 있다. 테트라포트 역시 같은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나타낼 수 있든지 분수의 골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초등학교 6학년 '분수와 소수' 단
원
과 곧바로 이어진다. 1÷2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고, 소수로는 0.5와 같다. 또 1÷3을 소수로 나타내면 0.3333…이다. 0.5는 유한소수이고 0.333…은 무한소수며 순환소수다. 분수를 소수로 바꾸면 유한소수거나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즉 2(B)+1(A)+3(C)+8(H)에 해당하는 14에 집착했다. 심지어는 음악 협회에 가입할 때 14번째 회
원
이 되기 위해 가입을 미뤘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수학에 푹 빠진 사람들⑦폴 에어디쉬(1867년~1934년)헝가리의 수학자인 에어디쉬는 오로지 수만을 사랑한 사람이었다. 80평생 동안 결혼도 하지 않고 취미도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이를 테면, 음수를 처음 발견한 당시 ‘-500×-500=2500을 500
원
의 빚과 500
원
의 빚의 곱은 2500
원
의이익이다’라고 해석하는 등 뛰어난 수학자도 음수 개념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지금 ‘음수 곱하기 음수는 양수’는 수학적으로 증명 가능한 참인 명제다. 수직선을 이용하면 설명이 쉽다. -2와 -2의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