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헛된 저항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존재하지 않아요. 전기가 잘 통하는 물체를 도체라고 해요. 도체의 한쪽
끝
에 다른 쪽
끝
으로 전자들이 움직이면 전류가 흐르게 되지요. 그런데 어떤 도체라도 전기가 100% 통하지는 않아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이 있기 때문이에요. 저항의 크고 작은 정도를 저항값이라고 하고, 옴(Ω)이라는 ... ...
놀라워서 오! 오징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모두 우리 오징어들의 능력에 놀라 입을 다물지 못하는구나? 하지만 놀랍게도 그게
끝
이 아니야. 다들 트랜스포머 좋아하지? 하지만 알고 보면 우리가 원조 트랜스포머란다. 지금 이 곳에 변신해 있는 갑오징어들을 한 번 찾아 볼래? 헉헉! 다리가 아파서 못 버티겠어~. 역시 나의 위장술이란~. 안녕?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알아보는 것이 좋아요. 애완동물이 완전히 자랐을 때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 자신이
끝
까지 잘 기를 수 있는지 신중하게 생각하고 판단해야 한답니다.애완동물도 신분증이 있다!애완동물도 사람처럼 신분증이 있어요. 바로 마이크로전자칩 기술을 이용한 표준전자신분증이에요. 표준전자신분증은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현존 기술과 도구를 종합해 더욱 정교하게 다듬으면 된다”고
끝
을 맺었다. 김해동 박사도 “연료를 보급하거나 부품을 교체하고 궤도를 조정해주는 정도는 가까운 미래에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문제는 경제성이다. 정비위성을 개발하고 발사하고 운영하는 데 드는 ... ...
돌돌이, 너는 내 운명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장치가 필요했다. 도마뱀은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온도를 잘 맞춰줘야 한다. 사육장 한쪽
끝
에 자외선(UVA) 램프(스팟램프)를 설치하면 여기서 나오는 자외선이 열을 내 램프의 빛이 비치는 곳은 32~35℃ 정도가 된다. 반대편으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온도 편차가 생겨 빛이 미치지 않는 쪽 구석은 26℃다. ... ...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풍력발전기의 속도는 초속 약 65m다. 풍력발전기를 연구하고 있는 경남호 박사는 “날개
끝
의 모양을 바꿔 소음을 줄일 수 있다”며 “이런 풍력발전기는 초속 80m까지 돌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에너지 모아 스마트그리드 구축글로벌신재생에너지기술연구센터는 풍력 외에도 태양열, 수소 등 ... ...
과학영웅과 ‘미래 예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하기 위해 끊임없이 실험을 되풀이했다고 강조한다. 1%의 가설과 99%의 실험을 거듭한
끝
에 작은 세균만 한 아이디어가 나왔고 결국 인류를 구했다는 것이다. 그가 다룬 과학자중 한명인 알 소머(미국의 안과전문의)는 원래 무엇을 연구하기 보다는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아픈 사람들에게 의료 봉사를 ... ...
신기한 광섬유 제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된다.옆 실험실에서는 완성한 모재에서 전반사가 제대로 일어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가
끝
나면 모재를 길게 뽑아내는 작업이 남는다. 이 일은 위층 실험실에서 진행한다. 광섬유를 뽑는 기계가 커서 건물의 2층과 3층을 터놓았다.“지금은 새 기계를 들여와 설치하는 중이라 아쉽게도 뽑는 장면을 ... ...
“책 속의 과학? 실험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수리는 물론 과학탐구 영역에서 모두 1등급을 받을 정도로 높다. 그 날 계획한 학습량은
끝
까지 하고 잔다.신도림고에는 학생들이 서로 학습 멘토, 멘티가 되는 ‘멘토링 제도’가 있다. 범진 군은 “제가 멘토링한 친구의 수학 성적이 올랐다”며 활짝 웃었다. 수학 공식에 대한 기본 개념이 ... ...
인류 진화의 열쇠를 쥔 ‘손’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사람보다 5배나 빨리 쥐었다 펼 수 있고 사람만큼 정교한 손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손
끝
에 감각 신경과 같은 센서를 달아 달걀을 깨뜨려 휘젓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선보여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최근에는 로봇 손이 점점 작아지고 있다. 기존의 로봇 손은 모양은 손이지만 부속품이 많아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