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교식 건국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건국대는 일제강점기였던 1931년 유석창 박사가 개원한 민중병원과, 해방 이후 1946년 개교한 조선정치학관을 시작 으로 하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 하는 학과가 어느 군에 속하는지 미리 확인해야 한다”며 “가령 자연계열 중 ‘KU 융합과학
기술
원’은 다군으로만 선발한다”고 설명했다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남겼다. “흔히 현재를 ‘불확실성의 시대’라고 이야기합니다. 언제 어떻게 새로운
기술
이 등장할지 모르는, 당장 앞을 내다볼수 없는 시대라는 뜻이지요. 이런 시기에 특정 전공을 선택 하기란 생각보다 어려운 결정입니다. 그럴 때 산업공학으로 눈을 돌려 보세요. 산업은 바뀌긴 하지만 늘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발상은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섞은 것에 불과하지만, 그 자체로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기술
이다. 즉 이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강조하는 것은 한 분야의 전문가가 이전만큼 파급력을 갖기 어려운 시대이기 때문이 다. 새로운 것을 발명하는 것보다 분야 간 결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이 중요한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덧붙였다.최근 들어 수학적인 기법이 생물학과 금융은 물론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수학자들의 길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리벳 교수는 “미국의 경우 10~15년 뒤에는 수학 박사들의 대다수가 대학이 아닌 산업계와 정부 기관 등으로 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초콜릿처럼 끈적끈적한 액체가 굳지 않고 잘 흐르게 하는 건 결코 쉽지 않습니다. 이
기술
을 터득하려면 우선 초콜릿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잘 알아야 합니다. 모든 액체가 물처럼 자연스럽게 흐르는 건 아니거든요.액체에는 꿀처럼 끈적한 것이 있는가 하면 물처럼 부드러운 것도 있어요. 꿀은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놀랍게도 색상을 결정하는 것은 갑상선호르몬의 양이었다.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
기술
을 이용해 갑상선호르몬 수용체를 제거하자 청색만 감지하는 망막이 만들어졌다. 반면 망막 발달 초기에 갑상선호르몬을 더 많이 첨가했더니 적색과 녹색 원추세포만 있는 망막이 형성됐다. 연구팀은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3D프린터를 이용해 2D 영상을 ‘모션 조각상’으로 인쇄하는 프로그램(MoSculp)이 개발됐다. 기존에도 움직이는 영상을 시각화하는
기술
은 있었지만 주 ... 말했다. 연구 결과는 10월 14~17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저인터페이스소프트웨어
기술
(UIST)’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김민아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현대사회에서 가상현실(VR)을 이용한 가상 동물원은 어떨까요?최근에는 3D와 가상현실
기술
을 적용한 동물원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오비 요코하마’는 3D 안경을 쓰고 영상으로만 동물을 만나는 동물원입니다. 지난해 3월에는 스페인 동물단체들이 이렇게 가상현실 동물 체험관으로 ... ...
[TECH]무선충전
기술
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의료기기는 수mW 수준의 아주 적은 전력으로 충분히 충전할 수 있다”며 “무선 충전
기술
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와 만나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용구서울대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삼성SDS를 거쳐 미국 국립표준
기술
연구소(NIST)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GIST 기계공학부 교수로 있다. 2000년부터 광집게를 연구했으며, 이외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3D 및 4D 프린팅 등을 연구하고 있다. lygu@gist.ac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