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81건 검색되었습니다.
용량 8배 큰 차세대 배터리,
상용
화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10.24
유지함을 확인했다. 조 연구원은 “리튬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차세대 이차전지의
상용
화를 앞당기게 될 것”이라며 “개발한 리튬황전지는 가볍고 에너지 출력이 높아 향후 드론, 자율주행차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만드는 유전자를 삽입하고, 발효를 통해 직접 거미줄 성분의 단백질을 추출하는 공정을
상용
화했다. 여기서 나온 단백질을 섬유로 가공해 옷을 만드는 것이다. 독일의 화장품 기업 ‘암실크(Amsilk)’는 거미줄 단백질로 피부 관리용 화장품을 탄생시켰다. 암실크는 대장균 유전자를 조작해 ... ...
[돈테크무비] 궁지에 몰린 일론 머스크, 오버테크놀러지로 뚫고 나가나?
2017.10.15
이름의 로켓형 운송체를 활용하여 베를린에서 샌프란시스코를 45분만에 이동하는 기술을
상용
화한 주체는 2차대전을 승리하고 일본과 북미대륙을 분할 점령한 나찌였다. 아마존이 제작한 SF드라마 '맨 인 더 하이 캐슬'에 등장하는 나찌의 초음속 여객기 그런데 그러한 소설 속 설정조차 너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만든 것이다. 결국 한 자리가 남아있는데 마지막 게임, 즉 페로브스카이트전지
상용
화에 결정적인 기여(불안정한 물질이라 수명이 짧은 게 걸림돌이므로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일일 것이다)를 한 사람에게 돌아갈 것이다. 현재 박 교수와 함께 영국 옥스퍼드대 헨리 스네이스 교수 등 쟁쟁한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발 후 5년… ‘염기’ 단위로 유전자 교정하고 ‘유전자교정 식물’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개발됐다. 최근 유전자 교정 치료를 위한 임상연구 승인도 늘고 있어 수년 내
상용
화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에서는 내년부터 유전자교정 식물도 판매될 예정이다. 지난달 28일 데이비드 리우 미국 하버드대(브로드연구소) 교수가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 ...
물 위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 받아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있으면 수소를 만들 수 있는 장비를 개발했다. 휴대용 장비로 만들 수 있어 수소연료
상용
화에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용기중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이승협 한국세라믹기술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스마트 인공광합성’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인공광합성은 ... ...
소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석탄 화력발전소를 멈추고, 경유차를 줄이는 등 친환경 에너지원을 찾는 시대다. 대안으로 꼽히는 신재생 에너지에는 큰 허점이 있다.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한 전 ... 리튬이온을 대신할 유력한 후보 물질로 10~20년 정도 꾸준히 연구하며 발전시키면
상용
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5
말했다. 현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성능을 뛰어 넘어
상용
화 직전 단계까지 와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X선 의료영상 장비, 고효율 LED 광원 등 다른 산업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관련 기사: 노벨상 유력 후보에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 ...
옷 입고만 다녀도 “스마트폰 충전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있었지만 피부와 대기의 온도 차가 섭씨 2도 정도에 불과해 웨어러블 열전 발전기의
상용
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평가가 많았다. 최 교수팀은 열전소자를 이용해 이 문제를 풀었다. 천과 같이 유연한 전자기판 가운데에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비스무스 텔루라이트(Bi₂Te₃)라는 물질을 잉크 ... ...
국내 연구진 ‘자율주행 차 두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0
영상인식-차량제어 실행 프로세서, 운전자 한눈 팔아도 사고방지 가능 국내 연구진이 자율주행 차량의 두뇌에 해당하는 프로세서(연산처리장치)를 자체 개발했다. 운전 ... 수 있어 가격 경쟁력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ETRI는 이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해 내년까지
상용
화할 계획이다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