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본"(으)로 총 4,0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②] 남극을 산책하는 방법2018.01.24
- 남극 세종기지 전경 - 전현정 제공 세종 기지의 숙소동은 마무리 공사 중. 멀리서 본 빨간색 레고블록의 정체들 - 전현정 제공 12월이면 한국은 겨울이지만 반대로 남극은 여름이다. 외부 활동이 가능한 11월부터 2월까지는 일 년 동안 남극에 머무르는 월동대원 말고도 연구를 위해 찾아오는 ... ...
- [카드뉴스] 내 몸 속 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2018.01.22
- 중국이 가장 낮았습니다. 이는 황 오염물질이 처음 중국에서 발생한 뒤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이동했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미세먼지에 들어있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다이옥신,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농약류 등)을 분석해 근원이 중국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도 있습니다. 최성득 UNIST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신의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2018.01.21
- 신체와 정신, 질병에 대한 의학적, 인류학적 의미를 공부했다. 현재 동화약품 연구개발본부에서 심신을 치유하는 좋은 약을 개발하며,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신경인류학 논문을 쓰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 등을 ... ...
- [테마별 영화] 특별출연이 빛나는 영화들 BEST 32018.01.20
- 무엇보다 상황과 대사가 주는 코미디의 맛이 살아 있는 영화다. 영화를 연출하고 각본을 쓴 류승완 감독의 천부적인 감각이 빛나는 작품이다. 호평이 자자했던 ‘베테랑’은 천만 돌파에 성공했고, 갖가지 명대사가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면서 각종 매체에 영화의 패러디도 심심치 않게 등장했다. ... ...
- 정부출연연구기관, ‘혁신 대상’ 아닌 ‘발전 주체’ 돼야동아사이언스 l2018.01.19
-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다. - 윤신영 제공 유국희 과기정통부 연구성과정책관은 본발표에서 “국가적 의무와 사회적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연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자율적 환경을 만들도록 21개 추진 과제를 선정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추진과제로는 △출연연이 직접 ... ...
- [동화작가, 남극에 가다 ①] 체험과 탐험 사이 2018.01.17
- 연락이 왔다. 그런데 탑승객 수가 6명으로 제한됐다고 했다. 푼타아레나스에서 바라본 바다. 무사히 남극에 갈 수 있을까? - 전현정 제공 우리 일행은 취재진을 포함해 모두 10명. 서바이벌 게임도 아닌데, 10명 중에 6명만 골라 남극을 가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결국 체험단 4명과 단장 1명, 프로듀서 ... ...
- 애플 스토어 드디어 한국 입점, 기대되는 이유는? 2018.01.17
- 이 공간을 ‘경험을 파는 공간’으로 꾸미고 있고, 실제로 해외에서 애플스토어를 경험해본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통해 그 환상은 더 커졌습니다. 하지만 국내 진출은 다소 늦은 감이 있긴 합니다. 그래도 이제 첫 단추를 꿰었으니 제2, 제3의 애플스토어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 [출동!기자단] 태양광 LED스탠드를 만들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01.17
- 관심이 많은 친구들, 핸즈(handz.or.kr)로 놀러 오세요~! 참가자 명단 : 간동혁(서울 영본초 4), 이하영(서울 계성초 6), 임수진(서울 안산초 4), 장예지(서울 개봉초 3), 최동욱(서울 도성초 4) >> 더 많은 내용은 어린이과학동아(1월 15일자)에 있습니다 ... ...
- [2018년 필즈상] 프랑스 여성수학자 소피모렐 교수 후보, 20년간 못푼 수학문제 해결수학동아 l2018.01.16
- 2010년 인도 하이데라바드 세계수학자대회 당시 앳된 모습으로 초청 강연하던 모습을 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네요. 이때 기자는 모렐 교수에게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2014년 필즈상 수상자인 응오바오쩌우 교수를 밀착 취재했던 베트남 기자가 다음 번 수상자는 모렐 교수 일 거라고 ... ...
- 강아지는 주인을 닮는다? 강아지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들2018.01.15
- 그 결과 강아지가 고양이에 비해 2배 더 많은 뉴런을 갖고 있었습니다. 뉴런은 뇌의 기본 정보 처리 단위로서 그 수가 많을수록 인지 능력이 뛰어나죠. 연구진은 크기가 다양한 개의 두뇌에서 약 5억만 개의 뉴런을 발견했습니다. 고양이 뇌는 2억5000만 개로 개의 반에 그쳤습니다. 개들은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