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d라이브러리
"
현대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각운동량이 영(0)인 중력자나 초대칭입자들이 바로 그것이다.
현대
의 모든 통일장이론은 이러한 새로운 입자들을 예측하고 있다. 나아가 새로운 입자들은 새로운 현상의 존재를 예측한다.예를 들면 모든 통일장이론에서 나오는 각운동량이 없는 중력자에 의한 제5의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예시력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이론들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드는 것 조차 우리의 능력 밖에 있다.
현대
물리학자들은 아직 시공간의 움직임을 해석하기에는 역부족이며, 따라서 예시를 믿는 초심리학자들이 옳다고 할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답은 지금 당장 이루어질 성질의 것으 아니다. '충분히 진보한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치유의 손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당신은 치유됐다.” 부흥사의 외침에 수많은 청중은 환호하며 신을 칭송한다. 중세 이래
현대
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돌팔이’ 의사와 기적을 행하는 사람들이 등장해 병든 이들을 고쳐왔다. 이들은 스스로 터득한 내적 힘이나 신으로부터 전지전능한 능력을 부여받았다고 주장하면서 말 한마디, ... ...
최초 자동차는 시속 3km의 세 바퀴 수레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마차를 제작하던 코치빌더(coach builder)들 몫이었다. 마차의 모습에서 벗어나 차체가 낮은
현대
적 의미의 자동차 모습을 갖춘 것은 1901년 독일 다임러사의 빌헤름 마이바흐가 만든 메르세데스라는 차였다. 이후 다임러사는 벤츠사와 1926년 합병, 메르세데스 벤츠라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자동차 ... ...
통일장이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나는 신이 어떻게 이 세계를 창조했는지 알고 싶다. 신의 생각을 알고 싶은 것이다. 나머지는 지엽적인 것에 불과하다." 상대성이론으로 잘 알 ... 자연계의 4가지 힘은 통일될 수 있을까. 물질과 힘은 끈의 요동인가, 면의 분신인가..
현대
물리학의 최대 과제인 통일장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 ...
1. 만물의 법칙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것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화면에 뿌려준다. 아인슈타인, 중력과 전자기력 통합 실패
현대
물리학은 장의 개념을 더욱 확장해 장의 양자화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빛이 파동이라는 개념은 빛의 여러가지 현상을 통해 이미 자연스럽게 확립됐다. 1900년대 초에 플랑크(1858-1947)에 의해 도입된 빛 에너지의 ... ...
2. 공개와비밀의 조화,
현대
암호의 출현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보냈을 때 받아보는 사람은 같은 비밀번호를 넣어야 문서를 읽을 수 있다.그러나
현대
사회에 들어서 불특정한 다수를 상대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일이 잦아지기 시작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 상에서 물건을 파는 전자상거래를 생각해보자. 파는 사람은 고객들과 개별적으로 ... ...
2. 인간과 기계의 두뇌 싸움 역사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노이만이다. 그는 디지털계산기의 구조 체계에 관한 ‘폰 노이만 기계 이론’을 만들어
현대
컴퓨터의 논리구조를 확립한 사람이다. 그는 게임에도 ‘최선’이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게임은 수학적인 관점으로 정리될 수 있다고 했다.1940년대말 샤논과 튜링이 컴퓨터를 이용해 체스 프로그램을 ... ...
3. 우리는 왜 애니메이션을 좋아할까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포스트 휴머니즘은 이미 할리우드 SF영화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단순한 것이 재미있다
현대
사회의 기계문명은 인간성을 점점 사라지게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애니메이션은 인간이 가장 인간답기 위해 찾는 마음의 고향인 것이다. 예전에 아동과 청소년들만이 즐기던 애니메이션을 이제 ... ...
1.
현대
사회 최고 스타 '벤처기업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기존의 것을 포기하지 못하는 사람이 새로운 것을 시작할 수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
현대
는 개성과 창의성의 시대다. 개성과 창의성은 '남과 다른 데서 출발'하는 나만의 세계로서 젊은이만이 향유할 수 있는 특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요즈음 '신세대'나 'X세대'의 대명사로 이런 단어가 튀고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