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5일 발표된 허블우주망원경의 사진을 한번 살펴보자. 가운데쯤에는 푸른 별무리를 감싼
채
둥글둥글 부풀어오른 모양이 마치 양의 머리와 뿔처럼 보인다. 사진의 주인공은 N30B라는 이름의 성운으로 지구로부터 16만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이웃은하인 대마젤란은하에 속해있다.양의 뿔은 단면이 ... ...
2. 헬기나 제트기로 자유자재의 변신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륙에 필요한 속도를 만들기 위해 활주가 필요한 반면, 회전날개는 동체 위에 부착된
채
회전하므로 동체의 활주가 필요 없다. 즉 회전익 항공기는 제자리에서 이륙할 수 있다. 또한 회전익 항공기의 경우 제자리에서 날개가 회전해 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중정지 비행이 가능하다.회전익 ... ...
올 겨울 슈퍼 독감 상륙 경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항체가 없으므로 증상이 심한 독감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고, H1N1의 큰 골격은 유지한
채
H1이나 N1에서 미세한 돌연변이가 나타나는 경우엔 체내에 기존의 H1N1에 대한 항체가 남아 있으므로 증상도 가볍고 국지적으로만 유행하는 독감이 되는 것이다. 1997년에 유행한 홍콩 조류독감은 H5N1이었는데,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활발12월 19일은 21세기 한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대통령을 뽑는 날이다. 그런데 한달이
채
남지 않은 11월 20일 현재, 대선의 쟁점으로 떠오르는 주요 이슈들은 과거 지향적이고 구태를 답습한 정책들이 적지 않다. 좀더 미래 지향적인 정책들은 없을까. 과학기술은 원천적으로 미래 지향적인 성격을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
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채
연석 박사. 그는 현재에도 우리 로켓을 만들려는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채
연석 박사가 걸어온 길|1951년 충북 충주 출생1975년 경희대 물리학과 졸업1978년 경희대 기계과 석사1979년 유한공업전문대 기계과 전임강사1982년 미국 미시시피주립대 항공우주공학과 연구조교1984년 미국 ... ...
버뮤다 삼각지대 비밀 푸는 열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물을
채
우고 다양한 속도로 바닥에서 공기를 뿜어줬다. 그리고 물 위에 물과 공기를
채
운 금속공을 떨어뜨려 그 금속공이 얼마나 쉽게 가라앉는지를 살펴봤다. 떠오르는 기포가 없을 때는 물 위에 겨우 떠있던 금속공이 기포를 뿜어주자 곧 가라앉았다.그러나 실제로 기포는 이와 반대의 작용을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주관하는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무인기 기술개발사업’이
채
택됐으며, 2002년 6월 말 항공우주연구원이 이 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10년 후를 내다보는 미래형 무인기 기술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스마트 무인기 사업에 대한 설명을 들은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같다.남극은 지난 1998년 남극환경보호의정서를 통해 향후 50년 간 자원개발은 보류된
채
과학활동만 허용돼 있다. 남극조약에 가입한 나라 가운데, 우리나라를 포함한 18개국의 36개 연구기지들이 남극대륙과 섬에서 월동한다. 1988년 세계 18번째로 킹조지섬에 세종기지를 세워 남극대륙 진출의 발판을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어쩌면 생물학의 역사를 새로 쓸 새로운 이론이 사람들 앞에 모습도 드러내지 못한
채
잊혀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학술지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인재의 등용과 발굴에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행태가 젊은 과학자들의 사기를 꺾어놓지는 않을지 우려된다.영향력 계수, 무조건 믿을 것인가 ... ...
현실의 법의학 vs 드라마 과학수사대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과학수사가 빠르고 손쉬운 것이라는 환상을 불러일으켰다고 설명했다. 1시간도
채
되지 않는 과학수사극에서는 사건발생부터 범인체포까지 압축적으로 박진감 넘치게 진행되며, 극 속의 실험실에서는 어떤 어려운 실험도 못하는 게 없다.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일례로 DNA 분석결과는 어떤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