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실제 심장 조직이 자라면서 물관이 인공 혈관 역할을 하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왼쪽 위 사진).글렌 고데트 교수는 “식물을 이용해 사람의 생체 재료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놀라운 실험”이라고 말했어요. 인터뷰 글렌 고데트 교수엉뚱한 생각이 과학을 바꾼다!Q 어떻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원주민 마을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밀도가 큰 물은 아래로 가라앉고, 물보다 밀도가 작은 기름은 물 위에 뜨는 거예요. 물 위에 있는 기름을 걷어내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지요.하지만 2007년 태안에서 ‘허베이 스피릿 호’가 일으켰던 기름 유출 사고처럼, 바다에서 기름을 싣고 가던 배에 사고가 나면 어마어마한 양의 기름이 ... ...
- [포토 뉴스] 암흑물질 찾는 제논1T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과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영국 왕립사진학회가 매년 개최하는 ‘국제과학사진대회 2017’ 수상작이 공개됐다. 올해로 3회 ... 강원도 정선의 지하 1100m 깊이에 우주입자 연구 시설을 구축하고, 암흑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코사인(COSINE)’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양성을 연구하는 김충곤 책임연구원은 “예전에는 생물 종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했지만 DNA 분석을 이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한나 KIOST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연구원은 해양 물리학에 대해 소개하며 “해양물리학은 바닷물이 어디에서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크고 B의 최솟값보다는 작은 유리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유리수는 수직선 위의 유리수 중 하나로서 A 또는 B에 속할 수밖에 없어서 모순이다. 반면 ➍의 경우, 왼쪽 조각에도 최댓값이 없고 오른쪽 조각에도 최솟값이 없다. 따라서 두 조각 사이에는 분명히 빈틈이 있다! 데데킨트는 빈틈을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만 원일 때, 오빠가 방법을 제시하면 자기가 큰 방을 가지면서도 최대한 돈을 적게 내기 위해 6만 원을 주겠다고 할 거야. 동생은 자기가 생각하는 큰 방의 가치인 5만 원보다 6만 원이 크니까 작은 방을 고르겠지. 반면 동생이 방법을 제시한다면 자기가 작은 방을 갖는 대신 9만 원을 달라고 할 거야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초콜릿 크기와 관계없이 먼저 먹는 사람이 이기는 전략이 있음을 증명했어요. 증명을 위해 처음에 내가 (m, n) 조각을 선택하고 상대는 (i, j) 조각을 선택했다고 가정해 볼게요. 또 매번 최선의 선택을 했다고 가정해요. 즉 실수로 지는 일은 없어요. 게일의 아이디어는 이렇습니다. 처음에 (m, n) 조각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해양지각 시추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답니다.●시추 : 지층을 조사 하거나 자원을 얻기 위해 땅속 깊이 구멍을 뚫는 일.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믿지 않는 사람들지구가 구 모양이란 사실은 어린이들도 잘 아는 사실이에요. 그런데 지구가 둥글지 않다고 주장하는 엉뚱한 사람들이 있어요. 그 ... ...
- [Focus News] 질소 먹고 위에 구멍, 질소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액체질소 잔류 식품의 판매를 금지하고, 위반 시 처벌을 강화할 방침”이라며 “접촉 시 위해를 줄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와 빙초산 등 식품첨가물 사용 실태를 조사하는 등 전반적인 안전관리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가의 관리 강화가 가장 중요하겠지만 소비자 역시 호기심을 ... ...
- [과학뉴스] 감싸주면 성격 버린다? 개의 경우엔 사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속담에 ‘위대한 선원은 결코 잔잔한 바다 위에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부모의 보살핌 등으로 어릴 때 힘든 상황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 커서도 장애물을 극복할 수 없다는 뜻이다. 적어도 개의 경우엔 이 말이 사실임이 드러났다. 에밀리 브레이 미국 애리조나대 인류학부 연구원 등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