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요인
까닭
근거
동기
이유
기원
d라이브러리
"
원인
"(으)로 총 4,38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로켓 또는 항공기에 탑재한다손·발·허리 등 운동기(運動器)의 통증·운동장애의 총칭
원인
은 불명이며 임상상(臨床像)도 복잡다양하다그래서 분류법도 나라마다 다르고 개념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관절 류머티즘이 독일식 병명 에서는 급성 관절류머티즘과 만성 관절류머티즘으로 나누어져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결과도 나와 있다. 전체 장애인의 88%가 선천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사고로 인한 후천적
원인
으로 장애를 겪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지난해 국내 농가에서 사용된 화학비료와 농약은 66만여t. 1ha당 3백42kg의 화학비료와 13kg의 농약이 우리의 식단을 위협하고 있다.이같은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증폭해주는 보청기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시각을 상실하는 절반 가량의
원인
이 시각의 핵심 기관인 망막 손상 때문이듯이, 청각 상실도 핵심 기관인 달팽이관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인공달팽이관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됐다.호주 멜버른대가 1967년 ... ...
편두통 있으면 빙과류 자제해야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갑자기 머리가 띵해지는 증상으로 보통 1-2분, 길게는 5분 정도 지속되다 사라진다. 그
원인
은 찬 음식의 영향으로 뇌 주위 혈관이 수축돼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젖산이 쌓이면서 혈관을 더욱 수축시켜 통증을 일으킨다.연구팀은 편두통환자 76명과 가끔 스트레스성 두통을 겪는 3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축소판인 동해의 해수순환에 대해서도 1990년 초반부터 연구해오고 있다.빙하기의
원인
은 천체현상이다1911년 천체물리학자 밀란코비치는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운동이 항상 고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빙하기와 간빙기가 발생한다는 가설을 생각했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밀란코비치의 빙하기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우울증에 대해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일깨우는 통계인 것이다.예전에는 우울증의
원인
을 주변 환경이나 어렸을 때의 경험에서 찾고자 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현대의학은 우울증이 뇌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지 못하기 때문임을 밝혀냈다. 특히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섞여 못쓰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결국 도시를 흐르는 하천을 메마르게 하는 주요
원인
이 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녹지 면적을 더욱 늘리려는 노력들이 진행 중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아스콘 등 특수소재로 도로를 포장하거나, 지붕과 벽면에 담쟁이나 잔디, 나무를 심어 건물을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3개의 샬레에는 같은 양의 물이 들어 있다. 비커도 거의 동시에 덮었으므로 수면 변화의
원인
은 비커 속 공기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비커를 덮으면 비커 속 공기 중의 산소가 소비되면서 촛불은 점점 약해지다가 꺼진다. 같은 부피의 비커에 같은 양의 산소가 있으니 수면 높이는 같아야 할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앞바다를 향해 거의 매년 지속적으로 북상하는 동한난류가 2000년 6-11월 사이에 사라진
원인
을 분석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자료를 제공했다. 예년에 비해 이 기간동안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로 유입하는 따뜻한 물의 유입양이 매우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해저케이블을 활용하면서 이전에 알려지지 ... ...
내 부모는 예외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경우가 많다.진단은 세부적인 임상검사, 가족력, 뇌 촬영 등으로 이뤄진다. 이 병의
원인
유전자가 발견된 후에는 간단한 유전학적 검사로도 진단이 가능해졌지만, 이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헌팅턴병 유전자를 지녔다고 진단을 받은 사람이 향후 고용이나 보험, 심지어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