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학"(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존중하겠다는 의미로 이런 기획을 했지요. 또, 여성의 비율이 낮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에 아이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STEM 분야 컨셉을 가진 생태학자, 해양생물학자, 천체물리학자, 곤충학자 등의 인형을 만들고, 소방관, 우주비행사 등으로 다양한 직업을 가진 바비를 만들어 ... ...
- [수학뉴스] 저글링 수학자, 에르되시 친구 로널드 그레이엄 세상을 떠나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아니라 1972년 국제저글링협회장을 맡아 일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수학자와 공동연구하고 수학 단체를 위해 일했던 그레이엄은 생전 저글링과 트램펄린을 즐겼다고 합니다. 지금쯤 하늘나라에서 에르되시와 함께 또 다른 연구를 하고 있지는 않을까요 ... ...
- [수학뉴스] 6800년을 날아온 손님, 니오와이즈 혜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니오와이즈 혜성이 지구를 찾아왔습니다. 1997년에 지구 주변을 지나간 헤일-밥 혜성 이후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혜성은 니오와이즈 혜성이 23년 만에 처음입니다.한국에서는 7월 말까지 해질녘 북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데요, 동아사이언스가 운영하는 과학동아천문대 ... ...
- [교육뉴스] 온라인 대입 진학상담 이제는 ‘쎈진학(Sen-Jinhak)’에서!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코로나19로 대면 상담이 어려운 요즘, 서울특별시교육청이 2021학년도 대입 수시전형을 대비한 온라인 대입 진학상담프로그램 ‘쎈진학’을 열었습니다. 쎈(Sen)은 ‘서울 교육 네트워크(Seoul Education Network)’의 약자로 쎈진학에는 학생·학부모와 교사를 위한 서비스가 있습니다.학생·학부모용 진 ... ...
- [특집] 한 장, 10년 묵은 변기에서 태어난 귀신과 화장실 휴지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접는 방법과 뭉치는 방법에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그 중간쯤이 좋겠다는 결론은 수학자 입장에서 보기에는 너무 막연해요. 실제로 그 사이쯤에 이상적인 휴지 모양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식을 알기 전에는 섣불리 판단할 수 없죠. 하지만 만약 독자가 스스로 실험한다면 개인의 닦는 스타일, 힘주는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궁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이를 수 있는 방법은 바로 ‘트레모 알고리듬’이다. 트레모 알고리듬은 19세기 프랑스 수학자 찰스 피에르 트레모가 개발한 것으로, 미로의 전체 모양을 몰라도 항상 사용할 수 있는 미로 풀기 알고리듬의 일종이다. 지나간 길에 표시하면서 경로를 찾는 방법인데, 헨젤과 그레텔처럼 빵 부스러기를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합니다. Q 알고리듬을 만드는 게 어렵지 않나요?고3 때까지 이과여서 알고리듬이나 수학에 익숙한 건 맞지만, 그렇다고 쉽진 않아요. 최근에는 기계학습을 공부하고 있는데, 공부할 게 많아서 좀 무서울 정도죠. Q 과학 기술이 앞으로 예술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이 예술에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있다.영국 워릭대학교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그리고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의 수학자들도 마찬가지로 AI가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그리고 그들은 오직 AI로만 결정을 내릴 때 비윤리적인 선택을 하는 상황이 얼마나 자주 일어날지, 그리고 우리가 그 가능성을 없앨 수 있는지를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지도교수가 감탄한 납땜 실력은 이때 완성된 것이다!).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물리와 수학을 깊게 공부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과학자라는 진로를 생각하게 됐다.공학과 과학, 두 마리 토끼를 잡다하지만 어떤 전공을 선택할지가 고민이었다. 이때도 역시 과학동아를 펼쳤다. 지난 호를 꺼내서 관련 ... ...
- [수학뉴스] 100년 묵은 내접 사각형 문제 영상통화하며 푼 수학자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아닌 직사각형을 만드는 문제는 1981년 미국 수학자 도로시 본이 해결했습니다. 이후 수학자들은 특정 비율이 되는 직사각형이 있는지 증명하는 데 도전했죠. 그러던 2018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의 대학원생 콜 휴젤마이어가 가로세로 비율이 인 직사각형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두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