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실 여섯! 복권으로 실천한 이웃사랑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자코브 베르누이입니다. 여러분은 복권 하면 뭐가 생각나시나요? 1등에 당첨되는 핑크
빛
대박의 꿈도 생각나지만, 노력보다는 요행으로 당첨을 노리다 복권의 노예가 되는 어두운 모습도 떠오를 겁니다.많은 사람들이 복권의 수익금이 당첨금으로만 사용된다고 알고 있지만 그것은 오해입니다.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다는 실험 증거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맥스웰이 전기력과 자기력을 통합하면서
빛
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도 발견했다.두 가지 발견은 모두 당시까지의 세계관과 정면으로 부딪혔다. 이 문제는 각각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발견으로 단숨에 해결됐다. 20세기 현대과학은 여기에서 시작됐다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있는 대표적인 예가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이들은 살아가려면 종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빛
과 이산화탄소, 각종 무기질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실험실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두 종을 함께 키우면 결국은 한 종이 선택된다.그런데 바다에서는 엄청나게 다양한 종의 플랑크톤이 엄연히 공존하고 ... ...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찾는 방법이다. 0.002%의 매우 미약한
빛
의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행성의 질량은 별
빛
가림 방법으로는 알 수 없어 별의 시선속도 변화를 이용했다. 계산 결과 케플러-16b는 갈색왜성과 같은 어두운 별이라기에는 질량이 작았다.이 외계항성계를 이루는 두별의 질량은 큰 별이 태양의 69%, 작은 별이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때문이다.그러나 그는 사적인 편지에서 “따뜻한 작은 연못에서 암모니아와 인산염,
빛
, 열, 전기 등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생명체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즉 화학적 조성에서 생물체가 창조됐다.훗날 ‘따뜻한 작은 연못 가설(warm little pond hypothesis)’로 불리게 된 다윈의 생각은 20세기 들어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 도전해 봅시다. 실제 연구 보고서 살펴보기 다음 연구 보고서를 쓴 학생들은 형광등
빛
의 유무에 따라 교실 밝기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도계를 이용해 연구했습니다. 평범한 주제일 수 있지만 탐구방법을 성실히 수행한 연구활동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렇게 연구활동을 한다면 결과를 여러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2000만 배로 추정된다.그런데 별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면서 왜 제트가 분출되고 강력한
빛
이 나오는 걸까. 별이 거대질량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건 당구공이 당구대 구멍에 쏙 들어가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현상 아닐까.“그렇지 않습니다. 블랙홀에 가까이 갈수록 중력이 급격히 커지는데 ... ...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떠 있는 조그만 액체 또는 고체 입자로 구름의 씨앗이 된다. 대기 중의 에어로졸은 태양
빛
을 반사하고 구름을 만들어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끼친다. 여분의 에어로졸은 구름을 더 오래 지속시키기도 한다.연구팀은 정밀하게 대기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챔버를 이용했다. CERN의 양성자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다. 금속으로 된 전극을 사용하면
빛
의 투과율이 떨어져 효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빛
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전극이 필요하다. 현재 널리 사용하는 투명전극은 산화인듐주석(ITO)인데, 지금까지 개발된 재료 중에서 가장 투명하며 전기가 잘 통한다. ITO를 가공할 때 펨토초레이저를 사용하면 유리에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정확히 거리를 잴 수 있는 것이다.
빛
이 약할 때는 라이다 센서를 더 많이 이용하고
빛
이 강한 상황에서는 카메라를 주로 쓴다. 이렇게 두 센서를 번갈아 쓰며 차를 운행하면 한 센서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지난 2006년 서해대교 사고 기억나세요? 무려 29중 충돌사고가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