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학교 정보 교과 홈페이지와 동아리 카페에 올렸다.학생들은 교사가 올려놓은 자료를 보고 미리 공부했다. 수업시간에 박 교사는 교구를 다루는 방법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만 알려주면 됐다. 나머지는 학생들끼리 서로 토론하며 스스로 배웠다. 둔촌고 학생들은 마치 친구 집에 모여 퍼즐 게임을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234억 원으로 2014년에 비해 173%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시장조사기관 GIA의 2013년 11월 보고서 ‘Marine Biotechnology A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들은 생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하지만 한국은 대양탐사요건(2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작성할 때 유용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올해 4월 발간된 ‘DHL 물류동향레이더 2016’ 보고서에서도 드론과 무인자동차가 만나 물류배송 비즈니스에 혁신을 이뤄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령 정체가 심한 도심에서 무인자동차로 물건을 배송할 때 드론을 띄워 교통 혼잡도를 미리 파악할 수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나를 쏘아보는 듯한 따끔한 느낌에 돌아보면 실제로 탐탁지 않은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고 있기도 하다. 어쩌면 우리는 무의식중에 짜릿짜릿한 전기 신호를 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지난해 10월 미국 UC데이비스 의대 민 자오 교수팀은 전기장에 주목했다. 그는 컴퓨터나 텔레비전처럼 전자파가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수도 있는 광전소자를 제안한 것이다.송명훈 교수는 가로등에 붙어 있는 태양전지판을 보고 아이디어를 냈다. 이 가로등은 낮에는 태양전지판으로 전기를 만들어 저장하고, 밤에는 이 전기를 이용해 가로등 전등으로 불을 밝힌다. 만약 이 두 가지를 합한다면 광전소자 하나로 낮에는 전기를 만들고,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소의 부사장인 지넷 윙이 사용하며 널리 퍼지게 됐답니다.예를 들어 지도를 보고 목적지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을 찾아낸다고 해 봐요. 길을 최대한 단순한 선으로 그리고 연결점을 정확히 표시하면 어떨까요? 어느 길로 갈 수 있는지, 또 어느 노선이 가장 짧은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죠. 이 방법을 ... ...
- [과학뉴스] 독성학(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패널과 과학전문작가가 MIT 성분의 안전성을 연구한 결과들을 종합해 2010년에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화장품에 MIT 성분이 0.01%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은 칠판에 적힌 공식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었다. 10분이 넘는 시간 동안 사울레스 교수의 연구실에 침묵이 흘렀다. 드디어 사울레스 교수가 입을 열었다. “I don't know.” 그걸로 그날의 토론을 마무리했다. 또 한 번의 노벨상을 기대하며고체는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베록 코시네비스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한 콘투어 크래프팅 기술을 눈여겨 보고 있다. 이 기술은 지구에서 도 ‘핫’한 기술로 2015년 중국의 6층 주택을 짓는 데에도 활용됐다. 이 기술은 재료(주로 콘크리트)를 층별로 쌓아 올리는 적층 방식으로 건축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각광을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는 염기서열과, mRNA에서 단백질 합성과 관련 없는 염기서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트론은 DNA에서 단백질 생성에 필요한 재료인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정보가 아닌 것들을 말한다. DNA는 mRNA로 전사될 때 인트론 부분을 빼고 나머지 부위(엑손)만을 추려 보내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