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7
모시는 ‘신사’를 보호하기 위해 심은 나무들이 자라 도시숲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센트럴파크뉴욕에서도 가장 번화한 맨하탄 한가운데 있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공원이자 숲이다. 150여 년 전 뉴욕이 대도시로 성장할 당시 인공적으로 조성됐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시민숲세계에서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
과학동아
l
201307
그런데 3D프린팅 기술이 이 문제를 풀 해결책을 마련했다.제니퍼 루이스 교수가 이끄는
미국
하버드대 공대, 일리노이대 공대 공동연구팀은 3D프린터를 이용해 모래알 크기의 초소형 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3D프린터는 평면(2D)에 잉크를 뿌리는 일반 프린터와 달리 공간에 재료를 쌓아 ... ...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 원자시계 개발
과학동아
l
201307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원자시계는 원자의 진동수가 일정하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현재
미국
이 국제 시간 표준으로 사용하는 원자시계는 절대온도 0도에 가까운 극저온 세슘 원자다. ‘1초’는 세슘 원자가 31억 9263만 1770회 진동하는 시간으로 정의한다. 그런데 세슘 원자를 특정 주파수로 진동시키기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
과학동아
l
201307
로보티즈에 맡기고 있다. 현재 경협에 나갈 로봇 토르도 거의 완성단계다.토르는 본래
미국
해군 연구과제로 개발하던 ‘사파이어(SAFFiR)’라는 인간형 로봇을 DRC용으로 재차 개발하고 있다. 전기모터로 움직이는 휴보와 달리 주사기처럼 피스톤이 앞뒤로 움직이는 전동식 인공근육(리니어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
과학동아
l
201307
미국
과 캐나다 합작 벤처 회사인 아쿠아바운티는 1989년 GM연어를 개발한 이후 지속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승인을 신청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1999년 첫 승인 신청이 이뤄진지 10년 후인 2010년 8월, FDA는 처음으로 GM 연어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 ...
명문대 남녀 합격생의 반전
과학동아
l
201307
야구 선수의 타율이 뒤집히다심슨의 패러독스는 우리 주변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인 데이비드 저스티스와 데릭 지터의 1995년과 1996년의 타율을 비교해보면 심슨의 패러독스가 나타난다. 왼쪽 표에서 보듯이 데이비드 저스티스의 1995년과 1996년도 타율은 데릭 지터의 ...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
수학동아
l
201307
부른다.그런데 팰린드롬 수와 관련해서는 재밌는 알고리즘이 하나 있다. 1984년
미국
의 컴퓨터 학자인 그루엔버거는 팰린드롬 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을 발표했다. 어떤 수라도 이 알고리즘을 따르면 팰린드롬 수가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단 한 숫자만은 이 알고리즘에 의해 팰린드롬 수가 되지 ... ...
[통계이야기] 국가의 나침반, 지표와 지수
수학동아
l
201307
국내 총생산은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과 서비스만을 계산해요. 만약 우리나라 사람이
미국
에서 일한다면 우리나라 국내 총생산에 포함되지 않아요. 반대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일한다면 그건 우리나라 국내 총생산에 포함되죠.외국에서 일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경제적 가치가 중요한 경제 지표로 ... ...
유해화학물질 누출 현장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7
미쳐. 특히 기체로 누출되는 경우 호흡을 통해 인체에 쉽게 들어가 피해를 끼친단다.
미국
국제방호협회(NFPA)는 건강 위험성, 화재위험성, 반응위험성, 특수위험성을 수치화한 코드도 만들었어. 숫자가 클수록 위험하다 고 볼 수 있지. 호흡기유해화학물질을 마시면 숨이 막히고 기침이 나온다.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307
5월
미국
컬럼비아대 김필립 교수는 그래핀으로 물리학계의 37년 된 난제 ‘호프스타터의 나비’를 구현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때 수학적 구조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죠. 놀라운 것은 2005년 그래핀의 양자홀 효과에 이어 이번에도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 가임 교수와 같은 시기에 연구 결과를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