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호"(으)로 총 3,2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찬반! 文정부 에너지정책ⓛ] 원전 사라진 뒤, 전력수급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2017.07.10
- 환경단체 중심의 찬성파는 원자력계의 우려가 지나치다고 지적한다. 어차피 신고리 5,6 호기의 실제 가동은 미래의 일이었고, 나머지 24기의 원전을 정상 가동하며 LNG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늘리면 점차적으로 수급을 맞춰나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환경운동연합은 ‘100% 재생에너지 전환 ... ...
- [사이언스지식IN_GOODBYE고리 ③] 고리원전 부지는 어떻게 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7.09
- 중이기 때문에 상업적 용도로 바로 다시 사용하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아마도 고리 1호기가 있던 자리는 숲이나 다른 발전소 시설 부지로 활용되지 않을까요. ... ...
- [2017 과학기술연차대회] 과학계 종사자 90% “허울뿐인 4차 산업혁명?... 아니! 빠르게 진행 중인 현실”동아사이언스 l2017.07.07
- 구축 방안에 관한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정한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오춘호 한국경제 논설위원, 김원준 KAIST 기계경영학부 교수, 오세정 국민의당 국회의원,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이우일 서울대 공대 교수, 유명희 KIST 책임연구원, 이정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
- 네안데르탈인과 크로마뇽인 분기, 기존 예측보다 30만 년 늦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5
- 데니소바동굴에서 발견됐으며 약 4만년 전 멸종했다. 크로마뇽인 및 네안데르탈인,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등과 함께 별도로 생존했던 고생 인류의 한 종이다. ... ...
- [사이언스지식IN_GOODBYE고리 ②] 원자로 해체, 제염이 뭘까요?동아사이언스 l2017.07.02
- 뭔가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미국의 로봇 '팩봇'이 촬영한 제1원전 3호기의 내부. - TEPCO 제공 일본 환경성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후쿠시마에서 실시된 방사능 제염사업의 제염기법 효과를 종합 분석해 발표했습니다. 제염 작업을 통해 방사성 물질의 양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지 ... ...
- [사이언스지식IN_Goobye 고리 ①] 고리원전의 임종 순간은 어땠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6.25
- 최악의 원전 재해 중 하나로 꼽히는 체르노빌 4호기가 있지만 사실상 고리 1호기에 쓰일 가능성은 없습니다. 기다리는 것이 좋다는 것이 기본적 입장이지만 쉽지 않은가 봅니다. 프랑스는 원전 가동 중지 40~50년 뒤에 폐로에 나서는 안전 저장 방식을 채택했다가 2000년 방침을 바꿔 즉시 해체를 ... ...
-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上)]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 이거 실화냐?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공기청정기를 완성할 수 있었다. - 사진=염지현 기자, 편집*구성=과학동아 편집부(7월 호) 제공 함께 수업에 참여했던 주부 방지현, 정수경 씨는 “그동안 말로만 듣고 그림으로만 보던 대형 기계들을 직 눈으로 보고 경험할 수 있어서 좋았다”며, “기회가 되면 앞으로도 가족들과 함께 할 수 있는 ... ...
- 세계 각국의 연구쇄빙선 경쟁, 한국은?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제2쇄빙선 건조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7500t급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있지만 1m 이하 두께의 얼음만 깰 수 있고 70% 이상을 남극에서 지낸다. 북극에서는 15일 정도만 연구에 활용되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은 이달 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중일 고위급 북극협력대화’에서 ... ...
- [카드뉴스] 일부일처제를 지키는 동물이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6.21
- 훤칠한 키에 기다란 목, 쭉 뻗은 다리를 자랑하는 두루미는 겨울철 논에서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여러 마리가 짝지어 다니는 모습을 잘 살펴보면 대 ... 적극적으로 방해함으로써 일부일처제를 유지한답니다. - 참고: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23호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현생인류가 다른 인류를 몰아내고 지구를 차지했을 거라고 설명한다. 즉 30만 년 전 초기 호모 사피엔스는 아직 ‘슬기로운(sapiens)’ 존재가 아니라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