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이
독특
유별
스페셜
고유
특유
뉴스
"
특별
"(으)로 총 3,81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 사회성 발달 위해 지금 부모가 할 일
2018.04.22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영유아기는 부모가 아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특별
한 시간인 동시에 아주 중요한 시간입니다. 바쁜 세상살이지만 아이들과 함께 하는 이 짧다면 짧은 시간을 TV에 내어주지 않고 어떻게 하면 더 놀아주고 재미있는 책을 읽어줄지 고민하는 부모님들이 더 ... ...
21일은 '과학의 날'...찾아갈 만한 전국 과학축제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4.20
수 있는 ‘Post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
전’을 연다. 국립부산과학관은 스티븐 호킹
특별
추모 강연을 29일 개최한다. 국립대구과학관은 21일부터 내달 7일까지 과학상상페스티벌을, 25일부터 29일까지는 요리를 주제로 과학을 배우는 '우리 엄마는 요리하는 과학자' 행사를 연다. ... ...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검색엔진 사용률 1위를 기록했으나 이 역시 일반인의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추측됩니다.
특별
한 목적이 있는 극소수 사용자만이 접속 가능합니다. 해외에서 접속하기도 어렵습니다. ‘우리민족끼리’, ‘조선의 오늘’ 등 정치 선전을 위한 사이트는 남한을 제외한 해외에서도 쉽게 접속할 수 ... ...
150만 원, 연필 깎아 만든 기차
팝뉴스
l
2018.04.18
검은 색이다. 레일도 있다. 기차는 터널을 빠져나오고 있다. 그런데 이 기차 모형은
특별
하다. 크고 많은 재료로 만든 것이 아니다. 연필 한 자루를 깎아 만들었다. 놀랍도록 정교하다. 귀엽고 앙증맞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주목을 받는 공예 작품이다. 미국의 아티스트가 한 수공예품 ... ...
[카드뉴스] 인간은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 과학동아가 기록한
특별
부록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의 발달로 스스로 판단해 화기를 발사하는 전투용 로봇이 현실화 되고 있습니 ... 10월호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이미지 출처 / GIB ▶과학동아가 기록한
특별
부록 ‘스티븐 호킹 ... ...
더욱 풍성해진 지구사랑탐사대 6기 발대식 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4
하늘소의 생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속 질문의 답은 '없다'다. 하늘소
특별
탐사를 이끌 이승현 서울대 곤충계통분류학 연구실 박사과정생은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하늘소만 해도 350종이나 돼 전국을 조사하는 일이 힘들다”며 “그래서 시민과학자들이 연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 ...
“팔이 없지만 당당한 우리들”
팝뉴스
l
2018.04.12
커뮤니티에 공개된 후 큰 화제를 모은 이미지다. 4명의 사람이 등장하는 사진은 뭐가
특별
한지 처음에는 알기 어렵다. 그런데 잘 보면 모두 팔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른바 ‘의수’라는 것을 착용하고 있다. 그들은 ‘바이오닉 암’ 즉 ‘생체공학 팔’이라고 부른다. 어감이 훨씬 근사하다.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 물리
2018.04.12
질량이 소실되고 있다. - EU’s Communicate Science 제공 ▶과학동아 기자들이 기록한
특별
부록 ‘스티븐 호킹’ ※ 필자소개 이필진 고등과학원 교수. 1994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컬럼비아대와 코넬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거쳐 1998년부터 고등과학원 ... ...
[
특별
기고] 우리는 왜 탐험을 해야 하는가?
2018.04.12
나는 지난해 6월, 미국 워싱턴DC 본사에서 진행된 내셔널지오그래픽 탐험가축제에 초대를 받아 참석했다. 월간잡지 ‘내셔널지오그래픽’을 발간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협회는 1888년부터 아무도 가 보지 못한 지구의 구석구석을 탐험하고, 오늘 인류가 처한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 ... ...
[2018년 필즈상] 환호와 충격 안긴 연구로 후보에 오른 게오르디 윌리엄슨 교수
수학동아
l
2018.04.12
문제 만나 수학자된 문학도 윌리엄슨 교수에게 카즈단-루스즈티그 양수 추측은 아주
특별
한 의미가 있습니다. 이 문제 덕분에 문학도에서 수학자로 진로를 바꿨기 때문입니다. 사실 대학교 3학년까지는 철학과 영국 문학에 더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중고생 시절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