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463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깜짝 디테일
팝뉴스
l
2019.08.27
의 장면이다. 해외 네티즌들을 놀라게 만든 것은 디테일 정신. 화살이 날아가면서 뺨에
작은
상처를 남겨 놓았다. 굳이 이런 표현이 필요했던 것은 아니다. 영화 이야기의 흐름만 놓고보면 없어도 되는 장면이었다. 그러나 애니메이터는 사실성을 살리고 싶었던 모양이다. 실제 상황이라면 화살의 ... ...
"식약처, 계속해서 규제기관 역할만 하면 '바이오 경제' 실현 요원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관련 제품을 27개 내놔 세계 1위이고 줄기세포치료제 허가도 7개 허가를 받았지만,
작은
기업에서 국내 임상시험을 했기에 세계 시장에 나가기 위해 많은 시간과 돈을 추가로 들여 미국에서 추가 임상시험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바이오 의약 분야에서 글로걸 리더가 되려면 과학기술 수준을 ... ...
WHO "식수 속 미세플라스틱 위험 수준 아냐" 학계선 추가 연구 필요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때문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WHO도 "150μm 이하로 크기가
작은
입자들이 장기적으로 체내에 유입되면 예상치 못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오염을 줄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깜짝 놀라게 만든 기내식
팝뉴스
l
2019.08.24
제공 이것은 도대체 무슨 음식일까. 샌드위치라고 한다. 그런데 빵 사이에
작은
베이컨 한 장이 달랑 있다. 이런 음식을 받아든 사람의 실망감은 굉장히 클 것이다. 사진은 미국 LA에서 중국 상하이로 날아가는 여객기에서 촬영된 것이라고 한다. 사진 공개자는 13시간을 비행하며 갔는데, ... ...
세포 노화 관여하는 '라민' 단백질 구조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방사광가속기는 태양보다 100경(京) 배 밝은 빛으로 살아있는 세포나 단백질처럼 아주
작은
물질의 구조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장비다. 라민 단백질 4개가 결합한 모습(위)과 단백질 사량체가 서로 결합하는 모습(아래)이다. 라민 단백질은 사량체의 끝이 악어클립 같은 집게 구조로 형성되며 ... ...
손바닥보다
작은
원숭이 두개골이 밝혀준 두뇌 진화 비밀
연합뉴스
l
2019.08.22
떨어지는 등 서로 반비례 관계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칠레세부스는 후각 중추가
작은
데도 시각 중추가 이에 반비례해 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시신경 연결부위의 크기로 볼 때 주행성인 것으로 추정됐다. 또 뇌 피질 표면에 있는 주름에서 접혀들어간 고랑이 적어도 7쌍에 ... ...
나비처럼 우아한 날갯짓 가능한 인공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앉아 있다. 우아하게 날갯짓을 한다. 자세히 보니 진짜 나비가 아니다. 나비 날개를 단
작은
기계였다. 나비뿐만이 아니다. 가지 끝에 매달린 나뭇잎이 바람에 살랑이는 동작, 꽃이 탐스런 봉우리를 활짝 여는 동작이 기계의 움직임으로 부드럽게 재현됐다. 이렇게 자연계에서는 흔하지만 로봇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변하는 시약을 개발했다. 검사 방법은 이렇다. 9일차 된 달걀에 레이저로 바늘구멍보다
작은
지름 0.2㎜의 구멍을 뚫어 요막액 한 방울을 뽑아낸다. 요막액은 배아를 둘러싼 요막강을 채우는 액체로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다. 채취한 요막액을 시약과 섞으면 암컷일 경우 색이 변한다. 셀레그트 ... ...
"중성자별 블랙홀 병합 중력파 관측" 과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중성자별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고 사이언스는 밝혔다. 하지만 이전에는 알지 못하던
작은
블랙홀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연구자들은 이번 관측을 통해 밀도가 높은 중성자별에 물질이 얼마나 단단하게 축적돼 있는지 등 중성자별의 특성과 구조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국내 연구진, 가장 먼 '왜소신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중간 밝기의 별을 신성, 낮은 밝기의 별을 ‘왜소신성’이라고 부른다. 이 가운데 가장
작은
왜소신성은 상대적으로 어두워 관측이 어려운데, 국내 연구팀이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먼 왜소신성을 관측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김상철 은하진화그룹 선임연구원과 이영대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