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뉴스
"
연구
"(으)로 총 39,02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빛 원자로로 우주 형성 비밀 찾는다…가벼운 암흑물질 탐색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신호 데이터 수집량을 2배 이상으로 늘리고 보다 정밀한 기술을 적용해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 권위의 물리학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지난 1월 14일 게재됐다 ... ...
딥시크 쓰면 정보 유출?…"AI, 우리 기억도 앗아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코딩하는 것은 굉장히 쉽다"라면서 AI가 인간의 기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활발히
연구
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doi.org/10.1038/d41586-025-00292 ... ...
'호라이즌 유럽' 참여하려면 '성평등 계획' 내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잘 적용되긴 어렵다"면서 "호라이즌 유럽을 계기로 국내
연구
자들이 성별 특성 고려
연구
가 선진국에서는 의무화 할 정도로 중요하다는 것을 더욱 인식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
"실험실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8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김경택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
단장이 레이저 펄스로 전자를 가속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광주=이병구 기자 ... ELI)
연구
소와도 좋은 관계에 있다. GIST에 있는 레이저 시설은 독점적으로 쓰고 있지만
연구
협력에 있어서는 열려 있다고 보면 된다. ... ...
AI가 찾은 약물로 2년째 생존중인 희귀질환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파젠바움 교수
연구
팀은 향후 AI 기반 약물 재창출
연구
를 확장할 계획이다. 올해 안에 또 다른 기존 약물인 야누스키나제1/2(JAK1/2) 억제제가 캐슬만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 nejm.org/doi/abs/10.1056/NEJMc241249 ... ...
[과기원NOW] 인수일 DGIST 교수, 英 왕립화학회 펠로우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첨단 융복합
연구
를 수행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인 교수는 "개인적인 영광일 뿐만 아니라
연구
팀과 DGIST가 함께 이룬 성과"라며 "앞으로도 에너지 분야의 글로벌 도전 과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 포스텍은 개교 38년 만에 처음으로 학위복을 새로 제작해 오는 7일 학위수여식에서 ... ...
[사이언스게시판] 유상임 장관, 광주 AI집적단지 현장 방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영향을 예측하고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정화 지재위 부
연구
위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하에 특허 무효율을 낮추고 의료·제약 분야 특허 라이선스 규제를 완화하며 위조품 단속을 강화하는 등 기업 친화적이고 강력한 지식재산 ... ...
'상온 양자역학'이 초전도체 LK-99로 오인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오해할 수 있다"면서 "내용을 전달하는 사람들이 과학자와 긴밀하게 소통해 충분히
연구
내용을 이해해 최대한 오류 없이 전달하고, 과장된 키워드를 사용해 대중의 주목을 받으려는 태도를 지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
[동물do감] 암컷의 '허세' 간파하려 시력 키운 수컷 춤파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수컷을 더 빠르게 포착하고 최적의 위치를 선점하기 위해 진화했다는 분석이다.
연구
팀은 "수컷이 더 정교한 시각을 갖게 되면서 암컷도 이에 맞춰 새로운 전략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수컷과 암컷이 서로의 전략에 맞춰 번갈아가며 진화하는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 ...
단백질 '4차 구조' 최대 1만배 빠르게 식별·비교 도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멀티머가 구조 기반 단백질 복합체 분석의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
연구
자들이 생명체와 분자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도록 강력하게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92-025-02593-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