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653건 검색되었습니다.
케이시크, KBS와 공동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4.11.04
대표 김영렬)는 KBS와 함께 를 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대
단위
시청자가 실시간으로 참여하는 형식의 양방향 방송으로, 지난 10월 25일과 11월 1일 오후 6시에 KBS1 채널을 통해 전국 생방송됐다. 한석준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고 박준규, 송은이, 김태현 등이 패널로 출연한 ... ...
대표 과학축제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부산에서 열린다
2014.10.28
처음으로 열린다. 중·고생들이 창의재단이 선정한 우수과학도서를 활용해 팀
단위
로 연극이나 TED 등 다양한 형식으로 발표·경연하는 대회이다. 강흥서 창의재단 과학문화사업실장은 “그동안 과학축전에서 ‘물·화·생·지’를 많이 다뤘다면 올해는 ICT 컨텐츠가 30%를 넘는다”며 “단순히 보고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2004년 사람에 따라 DNA 조각이 일부 없거나 몇 개 더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
단위
반복변이(CNV)’라고 이름 붙였다. 2007년에는 탄수화물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효소인 ‘아밀레이스’를 만드는 유전자(AMY1)의 개수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한국인처럼 탄수화물을 많이 ... ...
서바이벌 ‘과학 독서 배틀’ 첫 개최
2014.09.17
‘2014 과학창의 독서배틀 대회’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전국 중·고등학생이 팀
단위
로 참가할 수 있는 본 대회는 과학책을 읽고 그에 대한 감상을 쉽고 재미있는 방식으로 발표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대상 도서는 2014년 우수과학도서 17종과 출연연에서 발행한 ‘이지 사이언스 시리즈’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도덕을 포함하는 사회교과군의 경우 이미 한국사에 6
단위
를 배정했기에 이를 차감한 9
단위
만 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야 문·이과 ‘균형학습’의 취지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사는 1970년대부터 공통필수 과목으로 지정돼 있었다. 한국사 필수 지정이 곧 과학교육의 약화를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연구진이 그래핀에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단위
의 구멍을 자유자재로 뚫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최인희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 연구진이 상온에서 그래핀에 2nm 크기의 구멍을 손쉽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최인희 서울시립대 교수 - ... ...
[과학계 소식] ‘2014 청소년 물로켓 대회’ 개최 外
2014.09.03
및 개기월식 관측회가 개최된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대
단위
·다목적 전자선 실증연구센터를 활용한 미래 신산업 창출 투자유치 및 기술설명회’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연구센터는 전자선 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신뢰성 및 성능을 검증하는 시설로 방사선 ... ...
“사회적 합의 없는 교육과정 개정안은 무효”
2014.09.03
김명환 기초과학학회협의체 회장(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도 “과학계와 협의 없이 과학
단위
수를 은근슬쩍 하향조정했다”고 말했다. 정성희 동아일보 논설위원은 “교육부와 미래부가 개정안에 대한 사실을 서로 공유하고, 다시 논의하는 자리를 가져야 한다”며 중재안을 내놨다. 민경찬 ... ...
로켓 소녀에서 국가 안보 지킴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당시 미국에서 로켓 발사가 실패했는데, 여러 회사의 부품이 합쳐지는 과정에서
단위
가 다른 것이 실패의 원인이었다는 기사를 읽게 되었어요. 로켓은 수많은 업체들의 부품이 합쳐지는 초정밀 집합체이기 때문에 매우 고도화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송 연구원이 로켓에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등의 요인으로 개체수가 늘어날 경우 기존의 행동패턴을 유지한다면 전체적으로
단위
면적 당 개체수가 늘어난다. 그러면 개체 간 먹이(풀)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천적의 입장에서는 매일매일이 잔칫날이다. 이 경우 차라리 더 밀집해 무리를 이루는 게 유리하다. 즉 수억 마리가 떼로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