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생명체 곰삭이는 자연의 분해자: 버섯은 곰팡이 일종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이 존재한다. 이 물질의 대사 과정을 방해하면 곰팡이는 생명을 잃는다.곰팡이는
학술
용어로 균류(菌類) 또는 진균이라 부르며, 영어 명칭은 'fungus'(복수 fungi)다. 흔히 '균'이라는 말을 들으면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을 떠올린다. 그런데 병원성 미생물에는 곰팡이만 있는 것이 ... ...
인간복제병원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금지법 제정안'이 빨리 의회에서 통과하도록 서두르고 있다. 미국 의회와 7백여개의
학술
기관으로 구성된 생명공학산업기구는 인간복제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또 1월 12일 유럽의 19개국 대표는 '인간복제 금지 의정서'에 서명했다.그러나 한편에서는 시드 박사의 '결단'에 대해 강한 지지를 ... ...
2. 통신혁명의 주춧돌 정보이론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현재 정보이론 분야는 전자 및 전기공학회(IEEE)산하에 연구회가 조직돼 있고 정기적으로
학술
대회 개최 및 논문지 발간을 하고 있다. 소속 회원들은 대부분 전자 및 전기공학 전공자이긴 하지만, 이들뿐 아니라 학문의 특성상 순수과학인 수학이나 물리학 전공자도 많이 참석하고 있다.정보이론을 ... ...
3. 인간과 기계를 통합시킨 사이버네틱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과학을 통합하지 못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심지어 사이버네틱스와 관련된 어떤
학술
회의에서는 일부 화학반응도 되먹임 과정이 연관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사이버네틱스의 범주에 속한다고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에 따르면 어떤 형태로든 되먹임이 관련된 것이라면 모두 사이버네틱스의 일부라 ... ...
세기말 바람타고 날아온 바이블 코드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허무맹랑하다는 것이다. 랍비이자 하버드대학의 수학교수인 슈로모 스텐버그는
학술
지인 ‘바이블 리뷰’ 8월호에서 드로스닌의 책이 “터무니 없기로는 특허감”이라고 비아냥거렸다.유대교뿐만 아니라 가톨릭이나 신교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성서란 있는 그대로 읽혀져야지, 여기에 글자를 제 ... ...
뇌파학습기 끼고자면 모두 우등생?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사용하다 간질발작을 일으킨 사례가 매스컴에 보도됐다. 1995년 대한신경학회 추계
학술
대회에서도 뇌파학습기를 사용하다 광과민성 간질을 일으킨 10대 여학생 2명의 사례가 보고됐다.인위적인 뇌파조작이 해로운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은 신경과 전문의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소리자극에 ... ...
① 병을 스스로 이겨내는 능력을 키운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24일에는 개원의 1백여명이 모인 자연치료의학회가 만들어졌다. 현재까지 몇차례에 걸친
학술
세미나를 통해 활발하게 정보를 교환하며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환자의 입장에서 볼 때 최상의 치료책은 고통을 느끼지 않으면서 몸이 낫는 것이다. 몸에 ‘칼을 대지 않고’, 또 인공약물을 쓰지 않고 ... ...
플라스틱소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초등학생도 유전자 키트로 장난들을 합니다. 도대체 생명에 대한 존엄성이 없어요.”“
학술
적 가치를 먼저 따져보아야 해요. 저건 옛날에 쇠를 먹고 자랐다는 불가사리와 비슷하거든요. 그 옛날에도 유전공학이 발달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어요.”이제 소는 공원 밖으로 나가려 하고 있었다. 경찰은 ... ...
사람 유전자 인공적으로 합성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바로 얼마 전에야 이루어졌다. 지난 4월 초 미국의 윌라드박사가 ‘네이처 제너틱스’란
학술
지에 사람의 인공염색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보고했다. 윌라드박사는 이를 ‘제1세대 인간 인공염색체’라고 불렀다.인공염색체란 무엇일까. 윌라드박사가 만든 염색체는 실제 염색체와 어느 정도 ... ...
화석수집열풍 지구비밀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과학관, 대학 등의 공공 기관. 그러나 이들 시설에서 요구하는 것은 ‘양보다 질’이다.
학술
적 목적에서라면 굳이 똑같은 종류의 것을 필요 이상으로 거둬들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기관에서는 학자들이 직접 탐사에 나서 채취한 것을 연구나 전시의 대상으로 삼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