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아빠의 삶을 알려줄 수 있는 작품 남기기’ ‘도전적인 무언가 하기’ 등으로 하나씩 채워졌다.어릴 때부터 그는 콘텐츠 제작에 즐거움을 느꼈다. 서울대 공대에 재학 중이던 2006년에는 ‘공대생의 사랑 이야기’라는 연애소설을 발표했다. 웹툰 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지금도 반려동물, 공시생, 탈모 ...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빌려 우리나라 위성을 쏘는 경우처럼 우리 돈을 주고 발사 서비스를 맡긴 경우에도 만에 하나 발사가 실패하면 발사 서비스 회사가 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 발사 서비스를 의뢰한 쪽에서 보험에 가입해 실패에 대비하는 것이 세계 시장의 관행이다. 러시아와 무상 재발사 약속을 맺은 것은 당시 ... ...
- [중국유학일기] 기말고사가 가장 중요 족보 집중탐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시험 범위를 모두 공부할 수 있다. 다만 공부에 필요한 시간을 조금 줄일 수 있는 비법이 하나 있는데, 한국 대학에서도 흔히 ‘족보’라고 부르는 기출문제 모음이다. 시험 기간이 가까워지면 교내 복사점에서 족보를 팔기 시작한다. 학부마다 또는 과목마다 약 10년 전까지 시험지를 묶어서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970년대 영국의 수학자 존콘웨이가 ‘생명 게임’이란 이름으로 다시 살려냈다. 노이만은 하나의 튜링 기계가 29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했지만, 콘웨이는 ‘삶, 죽음, 탄생’ 등 3가지의 상태만 가지도록 했다. 콘웨이가 고안한 생명 게임은 몇 가지 규칙이 있다. 규칙들을 따르다 보면 ...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결국 1과 5 사이의 값 안에서 이런 불규칙함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고 있기에 이 또한 하나의 규칙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어떤가요? 여러분은 이 작품에서 재즈의 향기가 느껴지나요? 재즈의 가장 큰 특징은 그때그때 다른 멜로디로 즉흥 연주하는 것인데, 특유의 리듬과 악기 소리로 이 음악이 ... ...
- 좀비가 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좀비 가루를 구해 성분을 분석했어요. 두 개의 좀비 가루 중 하나는 복어의 독이, 다른 하나는 독말풀이 주성분이었어요. 좀비는 두 단계를 거쳐 만들어져요. 먼저 좀비로 만들 사람의 상처에 복어 독을 발라요. 복어 독이 몸에 퍼지면 호흡이 얕아지고 심박수가 느려져 2~3일 정도는 죽은 사람처럼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먹이통에 새로 먹이를 채워주면 신나서 새장 곳곳을 총총 뛰어다니지요.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어요. 야채와 과일, 씨앗, 견과류가 골고루 섞인 먹이 중에 해바라기 씨만 쏙쏙 골라 먹지요. 편식하는 앵두, 이대로 둬도 괜찮을까요?” 편식하는 새를 바꿀 꿀팁 우리가 먹는 쌀밥처럼 씨앗과 ... ...
- [과학뉴스] 빛으로 금화조에게 노래 기억 심는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어린 금화조에게 기억을 주입해 노래를 부르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참새목 중 하나인 금화조는 지저귀는 소리가 트럼펫 소리와 유사해서 ‘작은 트럼펫 연주자’라는 별명을 가졌다.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노래로 암컷에게 구애의 신호를 보내는데, 이는 태어날 때부터 가진 능력이 아니다.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감식할 수 있다. 무게로 따지면 0.1ng(나노그램·1ng은 10억분의 1g) 수준이다. 볼펜으로 점 하나 찍은 크기의 핏방울이 현장에 남았다고 가정하면, 그 속에는 160개 정도의 백혈구가 존재하고, 그 안에는 약 1ng의 DNA가 들어있다. 다시 말해 이를 10배 희석해도 지금 기술로는 DNA 감식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입자에 미치는 핵력의 크기는 완전히 똑같다. 이 때문에 처음에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하나의 쌍을 이루는 동일 입자로 취급됐다. 그런데 핵 안에서는 쌍둥이 입자 같지만, 두 입자를 따로 떼어 놓고 보면 다른 점이 드러난다. 양의 전기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으로 중성인 중성자라는 이름에서도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