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서식 환경과 비슷하게 채집통을 꾸며 주고, 돋보기로 관찰하며 연구 보고서를 작성해요.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도 관찰에 도움이 되더라고요. 참! 관찰한 곤충은 다시 꼭 자연으로 돌려보내 줘요.디엘 대원의 꿈은 무엇이에요?곤충사업가요!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곤충을 세상에 알리고 ... ...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않아도 수영장의 물을 먹게 돼요. 또 피부와 머리카락, 각막 등 몸 이곳저곳이 물에 직접 닿기 때문에 수영장 물은 항상 깨끗하게 관리돼야 하지요.그래서 인공 파도풀을 포함한 수영장을 지을 때는 물을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도록 정해져 있어요. 수영장에서 나온 물은 여과기를 통해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이 골판은 피부로 덮여 있거나, 딱딱한 뿔 조직으로 싸여 있었을 것으로 보여요. 등뼈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고, 피부에 붙어 있는 형태지요.골판은 어느 부위에 있느냐에 따라서 크기와 모양이 달라요. 스테고사우루스의 경우 머리 쪽의 골판은 크기가 작고, 등 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다가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쥐덫의 원리로 슝~! ‘마우스 트랩 카’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피융~! 고무줄을 최대한 팽팽하게 감은 후, 손을 떼면 자동차가 튀어나가요. 탄성력을 이용해 움직이는 ‘마우스 트랩 카’예요. 기자단 친구들은 직접 자동차 모양을 구상해서 자동차를 만들었지요.어떤 자동차가 가장 멀리 굴러갔을까요? 직접 확인해 보세요~!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맡기면 위아래로 출렁거리지만 해변으로 밀려가지는 않아요.반면 인공 파도풀은 물이 직접 이동해요. 그래서 구명조끼를 입고 떠 있으면 파도와 함께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답니다.파도가 부서지는 노란선을 피하라!인공 파도풀에서는 파도가 부서지는 지점을 조심해야 해요. 파도는 가장 높은 ...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오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열매에 있는 기름진 과육을 제거하고, 단단한 씨앗을 손으로 직접 깨야 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염소가 아르간 나무의 열매를 먹고 싼 배설물에서 씨앗을 수확하려고 했지요.하지만 아르간 나무의 씨앗은 길이 2.2cm, 폭 1.5cm로 큰 편에 속해요. 염소의 소화기관을 지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멀리 이동되어 여러 곳에서 쓰였다는 점 등이 신기하고 놀라웠다”며, “전시물을 직접 보니 아라비아가 좀 더 가깝게 느껴진다”고 말했답니다.# 이번 취재는 고대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슬람의 발상지인 아라비아의 또다른 모습을 느낄 있는 시간이었어요. 친구들도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토샵으로 수정해 몽타주를 만드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직접 사진을 수정하게 돼 있어 전문가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물의 완성도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 미국인의 데이터베이스롤 토대로 하는 만큼 국내에서 활용하기도 어렵다. 연구팀이 개발한 3D 몽타주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환경에 따라 맥주 제조에 중요한 특성들이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최근 수제맥주를 직접 만드는 사람이 많은데, 품질좋은 맥주 보리를 환경에 맞게 키워서만 사용해도 기존에는 없던 색다른 맛을 창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산 맥주보리는 백호보리 외에도 호품, 광맥, 다이안, 이맥, 흑호 등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토록 이질적인 특징을 둘둘 두르게 된 것인가? 하지만 정체불명의 질문자가 직접 이야기해주지 않는 한, 죽은 생물의 조직을 아무리 해체한들 정답은 나올 리 없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추측만 무성해질 따름이었다. 언젠가 에반스 교수는 “혹시 금성에서 온 거 아닐까요?”라는 농담을 던지기도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