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붙어있는 진동벨처럼 테이블에 붙어 있는 리슨 2세대를 계획 중이다. 생활을 편리하게 할
새로운
제품도 준비중이다. 제품을 개발할 때 지속가능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는 우 대표의 다음 아이디어 가 궁금하다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개구리가 발견됐어요! 에콰도르 샌프란시스코대학교 연구팀은 아마존 지역에서
새로운
종의 개구리를 발견하고, ‘하이알리노베트라키움 야쿠(Hyalinobatrachium yaku)’라는 이름을 붙였어요.이 개구리는 ‘유리개구리’의 일종이에요. 유리개구리들은 모두 투명한 피부를 가지고 있어요. 등과 다리의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번개처럼 움직이며 생물을 찾아라!‘바이오블리츠’는 지정된 장소에 모인 사람들이 총 24시간 동안 그 지역의 생물을 모두 조사하는 활동이에요. 1996 ...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참가 가능하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내 손으로
새로운
종이나 미기록종 찾기에 도전해 보세요~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미네랄 성분이 어떻게 생성되고 기능하는지 알 수 있었다”며 “치아의 구조를 모방해
새로운
재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11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21/acsnano.7b0504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나노기술의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도들의 축제 ‘나노영챌린지’가 6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올해 처음 개최한 나노영챌린지의 본 ... 줬다”고 말했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내년에도 ‘제2회 나노영챌린지’를 개최하고
새로운
도전자를 모집한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 중인 이상덕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 기술은 물류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아마존이 거대한 물류창고에 로봇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런 로봇들은 바닥에 붙은 QR코드나 땅속에 묻어 놓은 자석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돼 있어 진정한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확률은 100만 명 중 1명 꼴. 5만 번 중 1번인 터치ID보다 보안 기능이 강화됐다. 얼굴 인식이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사진에서 얼굴을 인식해 동일 인물을 자동으로 묶어 알려준다. 얼굴 인식 기술의 ‘원조’는 우리 뇌다. 뇌는 70ms(밀리초) 만에 얼굴 인식을 끝내고 인공지능(AI)은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학습을 통해 엄마인지 아빠인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성인이 된 뒤에도
새로운
사람을 계속 만나면서 뇌의 얼굴 인식 능력은 계속 발달한다. 결국 얼굴 인식 기능은 뇌의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학습을 거쳐 여러 신경세포들이 함께 작용해 일어나는 기억 활동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미 개발된 기술이지만, 스티브 잡스가 이들 3개 기술을 묶어 아이폰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로 탄생시켰다는 것이다. 박 이사장은 국내 교육 환경에서 융합형 창의가 가장 많이 발휘될 수 있는 시기를 대학 학부생으로 보고, 내년부터 대학과 연계해 이들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조직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절단된 부분에 미분화된 줄기세포 덩어리가 생기고, 이것이
새로운
조직으로 분화합니다. 저라면 이것으로 손과 발을 재생시키는 데서 끝내지는 않을 겁니다. 유전자를 교정해 기능을 높여야죠. 요즘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핫’한 ‘크리스퍼(CRISPR-Cas9)’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