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d라이브러리
"
기준
"(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대로 재현할 태세다. 아이패드에서는 아이폰의 16만 개의 애플리케이션(2010년 4월 초
기준
) 대부분이 작동한다. 아이패드가 출시되자마자 아이패드 전용으로 올라온 애플리케이션도 3000개에 이르렀다. 애플은 ‘아이북스(ibooks)’라는 전자책 서점도 내놓았다. 가상의 그래픽 서가에 보유 중인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호감도 제각각~모든 사람이 같은 사람에게 호감을 가질까? 호감과 비호감에 정확한
기준
은 있을 수 없다. 사람마다 경험이 다르고, 문화가 달라서 뇌에도 서로 다른 정보가 축적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 그룹에서 비호감이라고 선택한 사진도 다른 그룹에서 호감으로 선택할 수가 있다.다만 우리 뇌는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잎이 나요. 오리나무는 1바퀴에 3개, 벚나무는 2바퀴 동안 5개의 잎이 나지요. 잎 하나를
기준
으로 두고 세면 잘 보인답니다.이같은 원리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였어요. 과학자이자 화가인 다빈치는 뛰어난 관찰력으로 쉽게 지나치던 식물에서 원리를 찾아 냈죠. 훌륭한 사람은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런데 과학계에서는 타이탄을 토성의 위성으로 기억하는 사람이 더 많다. 토성은 2008년
기준
으로 60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는데, 1655년 네덜란드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처음 발견한 타이탄은 그중에서도 크기가 가장 크다. 행성인 수성보다도 크다니 이름값을 하는 셈이다.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나라별 환경을 평가하는 환경지속성지수(ESI)에 철새를 주요
기준
을 삼고 있다.하지만 한국의 철새 연구는 막 걸음마 단계로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전국을 통틀어 철새를 관찰하는 전문 연구시설은 철새연구센터 단 한 곳뿐이다. 전국에 3000개 이상의 철새 관련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즉 혼중성을 찾고 이것이 자오선에서 벗어난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었다.이번 관측에서
기준
으로 삼은 혼시각은 오후 8시 2분이었고, 목표 천체는 쌍둥이자리 카스토르(전통 별자리에서는 북하 2번별)였다. 아쉽게도 구름이 걷히지 않아 이 별을 관측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컴퓨터상에서 시뮬레이션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증가한다. 그렐린은 배고픔을 느끼게 하는 식욕 호르몬이다. 오 교수는 또 “하루를
기준
으로 하면 저녁을 먹는 날보다 안 먹는 날이 칼로리 섭취가 적지만, 일주일 평균을 내보면 저녁을 먹은 주와 먹지 않은 주의 1일 칼로리 섭취량에 큰 차이가 없다”고 덧붙였다.탄수화물과 지방 섭취를 제한하고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길이를 측정하고자 할 때 ‘cm’나 ‘m’를
기준
이 되는 단위로 사용합니다. 미터가
기준
단위가 된 것은 프랑스 혁명 직후부터입니다. 이 때 지구 둘레의 4분의 1에 다시 천만 분의 일을 한 길이를 1m로 정했습니다. 이 길이는 파리를 지나 적도부터 북극까지 이어지는 선의 길이에 천만 분의 일을 곱한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면 재조사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내진 설계가 적용되기 전에 지은 건물에도 안전
기준
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오래전부터 나온다. 실제로 내진 설계가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전에 지은 30~40년 된 건물은 속수무책. 소방방재청이 2월 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진이 났을 때 즉각 피해복구에 ... ...
세계 최대 달 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는 세계 최대의 달 모자이크보다 1.6배나 더 큰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해상도 72 dpi 를
기준
으로 대상작의 높이는 2.5m, 폭은 6.9m에 이른다.심사위원장인 김천휘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지난해보다 우수한 작품이 많이 출품됐다”며 “대상작은 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달의 크레이터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