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뉴스
"
현대
"(으)로 총 2,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정상 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 임의로 생긴 변이가 축적돼 암세포가 나오기도 한다(아래).
현대
의학은 환경과 유전을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지만 최근 임의의 변이가 더 큰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 네이처 제공 손택은 “질병을 인과응보로 여기는 관념은 오랜 ... ...
암탉이 수탉으로 ‘성전환’ 된다면?
2015.02.15
인정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늘에 가려졌던 수학자 에미 뇌터를 얘기하고,
현대
컴퓨터의 선구자인 찰스 배비지 대신 배비지의 해석기관이 컴퓨터로 탈바꿈하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에이다의 해석 능력을 다룬다. 여성과학자들의 ‘딴짓’이 세상을 어떻게 바꿨는지 궁금한 독자들에게 ... ...
티베트인은 중국인과 같은 민족일까
2015.02.15
특집 기사로 최첨단 광학 연구가 어디까지 와 있는지 소개한다. 네이처는 가장 먼저
현대
광학 연구를 이끌고 있는 연구자 3명을 소개한다. 마일스 파제트 영국 글래스고대 물리학과 교수는 레이저 빛을 꼬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진행하는 빛의 구성 성분인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태를 ... ...
튜링은 어떻게 독일군의 암호를 풀었나
2015.02.06
인공지능 판정 시험이다. 이지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은 “
현대
컴퓨터는 튜링 기계를 발전시킨 것”이라며 “슈퍼컴퓨터나 양자컴퓨터도 기본적으로는 튜링 기계의 개념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천재 수학자였던 튜링의 말년은 비참했다. 그는 당시 영국 정부가 법으로 ...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뭐가……될까?
과학동아
l
2015.02.03
주장입니다. 사주니 음양오행이니 하는 건 넘어가겠습니다. 제가 문제 삼고 싶은 건
현대
과학으로 성명학을 뒷받침하는 부분입니다. 이들은 파동성명학이나 인체반응성명학 같은 알 수 없는 명칭을 쓰고 있습니다. 한 작명소 홈페이지에 가서 파동성명학이란 게 무엇인지 알아봤습니다. 이름을 ... ...
도시 속을 걸으며 우주를 공부한다
2015.02.01
않은 우주와 천문 이야기를 풀어낸다. 쉽고 재미있게 우주를 이해하고 싶은 독자,
현대
사회속에 숨은 과학적 원리를 알고 싶은 독자들에게도 추천한다. 이 책의 저자는 독일어권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유명한 과학 블로거이자 팟캐스트 진행자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 천문학 연구소에서 ...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
과학동아
l
2015.01.27
행동입니다. 책에도 무책임한 주장만 잔뜩 있을 뿐 정작 출처와 근거가 아주 부실합니다.
현대
의학이 100% 완벽하지는 않아도 아직 이보다 더 나은 도구는 없습니다. 아프면 병원에 갑시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고호관 기자의 ‘완전 까칠한 호관씨’를 매주 수요일 연재합니다. 2013-2014년 ... ...
선체 함몰-기운 정도 3D 구현… 세월호 인양 여부 최종 판단
동아일보
l
2015.01.26
선체처리 관련 기술검토 태스크포스(TF)’는 2단계 현장조사를 위해 24일 바지선 ‘
현대
보령호’를 세월호 사고 현장에 투입해 27일까지 나흘간 선체 상태를 파악하는 조사를 진행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의 전문가들은 25일부터 다중빔음향측심기(MBES)를 이용해 3차원 정보를 ... ...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과학이 그렸다?
2015.01.25
우주에 건설한 인공물인 ‘우주정거장’ 등이 실렸다. 이밖에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
까지 1000개 이상의 주요 천문학 사건을 보여주는 연대표도 함께 볼 수 있다. 살림 제공 ◆청소년을 위한 수학자 이야기 (모리 쓰요시 著, 살림 刊) 무엇이든 쪼개고 또 쪼개는 미분 방정식을 보면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때문이다. 그러나 물리학자들의 반응은 잠잠했다. 정말로 불확정성 원리가 틀렸다면
현대
물리학의 기둥인 양자역학이 삐걱거릴 텐데 왜 조용했을까. 이 논문은 하이젠베르크의 설명 방법에만 딴지를 걸 뿐, 불확정성원리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게다가 하이젠베르크의 설명 방법이 맞다고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