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 미터 크기 유리기판 미세한 굴절 잡는다...표준연 두께 불량 검출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7.03
요즘 거실의 TV는 40인치 혹은 50인치 이상의 대화면 평면 제품이 대세이다. 국내 판매되는 TV 화면의 크기는 7년 사이 평균 10인치 커진 것으 ... 말했다. 이준영 노비텍 대표는 “해외시장에도 진출해 유리 기판 뿐 아니라
태양
광패널, 실리콘 웨이퍼 등의 분야로 시장을 확장시키겠다”고 말다 ... ...
선명한 행성 탄생 순간, 처음으로 목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2
1000도로 확인됐다. 중심 항성인 PDS70에서 약 300억 km 떨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태양
에서 천왕성까지 거리에 해당한다. 막스플랑크연구소 앤드루 뮐러 박사는 “ 별의 진화 과정 중 탄생 초기에 대해 보다 명확히 알기 위해선 별의 탄생 장면을 더 많이 찾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며 ... ...
日 탐사선 ‘하야부사-2’ 소행성 ‘류구’ 도착…첫 C형 소행성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소행성은 S형, M형보다
태양
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어 덜 뜨겁기 때문에 수분은 물론
태양
계 탄생 초기의 원시물질이 증발하거나 변형되지 않고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 탄소가 풍부하다면 생명체 활동의 흔적인 유기물질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1997년 ... ...
“일반상대성이론, 은하 규모에서도 통해” 관측으로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6.25
계산한 질량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값이 97%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콜릿 교수는 “
태양
계 밖 천체를 통해 일반상대성이론을 확인한 가장 정확한 실험일 것”이라고 말했다 ... ...
[여기에 과학] 북반구의 동쪽이 남반구에선 서쪽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22
서쪽이 되느냐’란 질문을 하곤 합니다. 분명히 헷갈리는 문제지만 남반구 역시
태양
은 동쪽에서 뜨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답은 ‘아니다’가 맞습니다. 북반구와 남반구가 상하반전돼서 위도에 따라 계절은 반대로 진행되지만 좌우가 뒤바뀐 건 아니라는 얘깁니다. 사실 지금까지 설명한 ... ...
온실가스 CO₂→ 필수자원 ‘포름산’ 바꾸는 인공나뭇잎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6.19
“향후
태양
광을 이용해 의식주 모두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상용화 가능한
태양
광 공장(Solar Chemical Factory) 건설도 꿈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촉매과학분야의 국제 학술지 캠켓캠(ChemCatChem) 5월 28일자 전면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화학분야 전문지 캠켓캠(ChemCatChem) 2018년 ... ...
‘3D프린팅 주택’서 사는 날 머지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보스레이크에 지어질 예정이다.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만큼 도시천연가스 대신
태양
열 에너지 등을 활용한다. 3차원(3D)프린터로 콘크리트 골조를 인쇄하는 모습. - 네덜란드 에인트호번대 제공 공개된 3D 프린팅 주택의 외형은 매끈한 곡면으로 이뤄진 비정형의 둥근 바위 형태다. 5채의 ... ...
과거 생명의 흔적? 35억 년 전 화성 암석에서 유기화합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될 수 있는 물질이었다. 더구나 이 유기화합물이 만들어진 시기는 화성이 지금보다
태양
에 가까이에 위치해 따뜻하고, 액체 상태의 물이 풍부하던 35억 년 전으로 밝혀졌다. 아이겐브로드 연구원은 “이 유기화합물이 생명의 흔적인지 여부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다”며 “하지만 현재의 화성에서 ... ...
[사이언스지식IN] 자외선 주의보! 자외선 차단제 주의보? 차단제 성분 알고 써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6.09
없는데요. 자외선 차단제 정말 안전한 걸까요. Q1. 자외선이 정말 그렇게 위험한가요?
태양
광선에는 파장이 짧은 방사선부터 파장이 긴 라디오파까지 다양한 전자기복사파가 있습니다. 그 중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외선이죠. 자외선에는 자외선 A, 자외선 B, 자외선 C가 있습니다. 자외선 C는 ... ...
[여기에 과학] 동해엔 모래해변, 남해엔 자갈해변 많은 건 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침식되는 곳이죠. 또 한 가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조류입니다. 바다에선 달과
태양
의 인력과 지구 자전에 힘입어 대략 하루에 두번씩 밀물(만조)과 썰물(간조)이 생기는데요. 조수간만의 차라고도 불리는 이런 바닷물의 높이 차로 인해 생기는 흐름을 조류라 합니다. 육지에서 온 퇴적물의 양과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