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에는 ‘춥게’ 입어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함께 ‘의복요법(추운 날은 약간 춥게 더운 날은 약간 덥게)’을 실시한다면 시너지
효과
를 일으킬 것이라고 생각한다. 단, 환자라면 전문가의 지도 아래 단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옷으로 ‘사우나’를 하라추위와 더위에 모두 강해지려면 추위 자극과 더위 자극을 교대로 받는 것이 좋다.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극복하기 위해 코로나그래프라는 특수 장비로 별빛을 가리고 행성만 찍는다. 도플러
효과
로 별의 속도 측정지금까지 외계행성의 90% 이상은 ‘시선속도 측정법’으로 발견했다. 별빛의 스펙트럼을 촬영하는 고성능의 분광기로 별의 분광선 자료를 얻은 뒤, 도플러
효과
(파동을 발하는 물체와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습니다.청이 와~ 기대되네요. 붉은 배도 항산화물질이 들어 있으니 암을 예방하는
효과
가 있겠군요.#3 서로 다른 품종끼리 교배도 가능해 청이 속이 빨간 사과와 껍질이 붉은 배라…. 그렇다면 빨간 과일이 몸에 좋은 건가요?김 박사 빨간색 성분만이 아니라 노란색이나 보라색을 띠는 성분도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새로운 길을 열었다. 시험관 아기 시술법은 산모와 아기에게 안전하고 불임 치료에
효과
적이며, 윤리 기준에 적합하다. 오랜 기간 동안 연구 업적을 축적해 체외수정으로 임신된 아기들이 자연적으로 임신된 아기처럼 건강하게 태어나 자라고 있다.”‘시험관’에서 만든 수정란, 자궁벽에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평소 목소리를 훨씬 뛰어 넘는다. 큰 소리에 묻혀 작은 소리가 들리지 않는 마스킹
효과
(masking effect)가 성악가에게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비밀은 공명에 있다. 사람의 공명관은 코와 입 사이의 인두강에서 구강으로 이어지는 주공명관과 비강으로 이어지는 보조공명관으로 이뤄져 있다.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초등학교 시절, 청색 종이 위에 나뭇잎을 올려놓고 햇빛에 놓으면 한참 지난 뒤 햇빛을 받은 부위만 더 파랗게 색이 변하는 청사진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청 ... HFC는 오존층을 파괴하지는 않지만 이산화탄소에 비해 수백 내지는 수만 배의 온실
효과
를 일으키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본떠 ‘바나나킥’이라고 한다.공은 선수가 찬 방향으로 회전하며 날아가다 ‘마그누스
효과
’에 의해 바나나 모양으로 휘어지기 시작한다.❶ 회전 방향이 공기의 흐름과 반대 방향이면 공기의 속도가 느려져 압력이 높아진다.❷ 회전 방향이 공기의 흐름과 같은 방향이면 공기의 속도가 빨라져 ... ...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빠른시간 안에 다양한 상황을 공부하려면 문제집을 보는 것이
효과
적입니다. 그런데 게임 상황을 모두 책에 표현하기란 쉽지 않겠죠. 그래서 책에서는 간단한 기호를 써서 말의 위치와 게임 진행 상황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있는데요. 레이팅이 높은 사람의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온은 적당한데 물이 없는 행성은 어떻게 해야 할까. 드라이아이스를 충돌시켜 온실
효과
를 일으켰듯이 물도 직접 가지고 갈 수 있다. 목성의 위성 유로파 같이 물이 풍부한 곳에서 끌어 낸 엄청난 양의 물을 우주 공간에서 얼린 뒤 갖고 가는 방법이다. 얼음덩어리를 행성에 충돌시키면 손쉽게(?)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도 많다. 쉽지 않은 작업인 만큼 완료한 뒤 얻을 수 있는
효과
는 크다. 어쩌면 지금 이 글을 읽는 젊은이가 노인이 됐을 때는 치매란 천연두처럼 먼 옛날에나 있었던 병에 불과하며, 인류는 인체에서 가장 알기 어려운 기관인 뇌의 비밀을 꿰뚫고 있을지도 모른다.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