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모델링을 해보면서 기계공학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됐다.그는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를 수강하는 등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아보면서 기계공학이 어떤 학문인지 좀 더 자세히 조사했다. 기계공학의 커리큘럼 등을 살펴본 이 씨는 “공학자가 되기 위해 기본적으로 ... ...
- Intro. 미세먼지 사냥꾼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나는 한국지부에서 활약하고 있는 ‘싹쓰러’ 박사라고 해. 요즘 한국에 미세먼지가 끊이질 않아 굉장히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지. 지금부터 전세계에 있는 특이한 미세먼지 사냥꾼들을 소개할 거야. 하핫, 기대하라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미세먼지 사냥꾼 ... ...
- 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청소는 역시 물청소가 최고지! 이번에 소개할 미세먼지 사냥꾼은 바로 물이야. 물을 사용해서 미세먼지를 청소해 볼까? 드론과 물대포로 미세먼지를 청소한다?미국 사막연구소는 인공강우를 만들 수 있는 드론을 연구하고 있어요. 인공 강우는 구름에 화학물질을 뿌려서 비를 내리게 하는 기 ... ...
- Part 5. 짜잔~ 미세먼지, 예술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자, 이번엔 멋진 그림을 감상할 시간이야. 이 그림이 미세먼지와 무슨 상관이 있냐고? 사실, 이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한 잉크는 미세먼지의 주범인 자동차 매연으로 만들었어! 자동차 매연으로 잉크를 만든다?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출신의 공학자 ‘아니루드 샤르마’는 사람들에게 미세먼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합니다. 그리고 공부를 해나가면서 물리보다 수학에서 재능을 발견했습니다. 이 때 한국 수학의 대부인 이임학 교수에게 배우기도 했습니다. 예일대에 박사과정으로 진학한 뒤 1년 만에 박사학위 논문에 필요한 연구를 모두 완성했고, 2년만에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졸업 직후인 1960년부터는 ...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는 영상으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단순하기 이를 데 없는 가사와 멜로디로 이 동요는 한국뿐 아니라 각국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지요. 이처럼 최근 유튜브 영상 채널을 이용한 동요는 다양합니다.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또 다른 동요를 하나 더 소개합니다. 깨비키즈에서 만든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것이다. 지니톡은 영어,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5개국 언어를 한국어로 통역하는 AI로, 정확도는 95% 정도다. 김 책임연구원은 “9개 언어 음성인식기술은 독일어, 러시아어, 아랍어 등 3개국 언어를 추가해 8개국 언어를 통역할 수 있다”며 “1개 언어 당 단어 약 100만 개를 인식할 수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핸들이 돌아가더니 ‘에트리카(Etri-Car)’가 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다. 5인승 자동차의 뒷자리에 덩그러니 혼자 남겨졌다. 시속 15km, 에트리카가 천천히 움직인다. 하지만 체감은 고속 질주다. 전방에 사람이 보일 때마다 ‘으헉’ ‘앗’ 같은 감탄사가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주망원경’과 함께 지구 질량의 1.43배 정도인 외계행성을 찾은 바 있다. 이충욱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은 “국경을 막론하고 외계행성을 찾는 이유는 인류가 거주할 수 있는 또 다른 지구를 찾기 위해서”라며 “KMTNet은 올해 10개 정도의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을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많은 나라는 중국, 미국, 독일 등 세계적인 경제 강대국들이다. 인구가 5000만 명에 불과한 한국이 세계 6위의 수출 대국이 된 이유는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혁신을 추구하고 또 정부도 적극적으로 이를 육성했기 때문이다. 반면 이들 기업에 인력을 공급하는 대학의 입장은 전혀 달랐다. 1990년대 이후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