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정글을 뒤지던 프랑스의 박물학자에 의해서였다.그러나 앙코르와트 지역은 1972년부터
외부
인에게 폐쇄된 이후 낮에는 베트남군이, 밤에는 크메르루지의 게릴라가 번갈아 차지하는 20년간의 지루한 전화에 시달리면서 거듭 훼손당하는 운명에 빠지고 말았다. 지난 82년 이루어진 한 조사는 이 지역의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우리는 이 방법이 성공하자 자연의 이치를 활용했다는 짜릿한 쾌감을 맛보았다.
외부
와 단절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고국과의 통신이다. 전화는 빨라서 좋으나 분당 17달러(한화로 1만4천원 정도)나 돼 비싼 것이 흠이다. 그래서 최소 한달 이상 걸리나 값이 싼 편지를 더 많이 애용한다. 편지는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등의 반합성 페니실린이 1960년대부터 시장에 나왔다.용어설명라이소자임(Lysozyme) :
외부
와 접촉하는 점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의 일종. 눈물 콧물 침 우유 계란흰자 등에 존재한다. 이 효소는 공기에 의해 운반되는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파괴해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한다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만들어진 피지가 밖으로 분비되지 못하고 농축돼 생긴다. 농축된 피지의 일부가
외부
로 노출되면 산화돼 검은 점처럼 보이고 완전히 밀폐되면 흰색으로 구진처럼 보이게 된다. 이를 면포라고 부르고 면포를 짜면 비지 같은 농축된 피지가 나오게 된다.농축된 피지가 밖으로 분비되지 못하고 주위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31억2천만원으로 다른 실용위성 개발비의 1%에 불과한 돈이다.위성은 비슷한 형태의
외부
구조를 갖는다 하더라도 궤도와 탑재체의 특성에 따라 새로이 설계돼야 한다. 또한 위성은 일단 궤도에 진입하면 수리나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고의 신뢰성을 요구한다. 그래서 우리별2호를 국산 ... ...
4 펜티엄프로(P6)발표, 기로에 선 펜티엄 운명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사용하면서도 펜티엄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보이는 686급 프로세서다.특히 5x86은 32비트
외부
버스구조의 486급 주기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펜티엄보다 저렴한 가격에 펜티엄급의 성능을 구현하는데, 지난 9월부터 국내 일부 발빠른 중소기업제품의 컴퓨터에 채택되기 시작해 국내 대기업 컴퓨터 ... ...
Ⅰ 하이테크에서 하이컬처로 최대의 만족감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뿐이며 정상인이 정상상태에서 갖는 느낌이나 감성의 변화를 측정하지는 못하고 있다.
외부
의 감각 또는 정보 자극에 따르는 인간의 감정변화가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면 그것은 인체 생리학적 척도가 될 것이며 두뇌의 부위별 활동 수준과 관련되는 측정량이 될 것이다.인간의 감성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더 좋은 방법인가"가 아니다. 국내 감성공학자들은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은 문명 이기가
외부
로부터 도입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문화적 습관을 전혀 고려치 않고 무분별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생기는 개인, 더 나아가 사회 질서의 혼동이 우려할 만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익히 ... ...
1 촉감-인체 최대의 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따뜻한 촉감을 놓아하며 젊은 여성들은 딱딱하고 차가운 소재를 선호한다. 신체를
외부
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한 피부는 그 면적이 2㎡에 달하는 인체 최대의 감각기관이다. 피부에는 온냉감 접촉 압력 통증 등을 느끼는 감각 수용체들이 산재돼 있어 이들이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경락 또한 그러하다"고 했다. 피부 아래에 존재하면서 지하수맥 역할을 하는 경락과,
외부
로 드러나 연결돼 원천으로서 기능을 갖는 경혈의 개념을 위치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또한 영추의 경수편(經水篇)에서는 "경맥(經脈)은 혈을 받아 운영한다"고 하여 경맥을 인체 혈관순환의 개념으로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