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힉스 입자 발견으로 널리 알려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연구진이 한국을 방문했다.한국과 CERN의 협력 연구 10주년을 기념해 3월 31일 열린 심포지엄에 참석하기 위해서다.과학동아는 이미 CERN의 새 소장을 단독 인터뷰한 적 있다(2016년 11월호).이번에는 CERN의 핵심 실험을 맡고 있는 페데리코 안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자기만의 분야를 개척해서 평생 연구하신 분입니다. 그리고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었습니다.”“고체이론물리 분야에서 자신의 이론을 가진 거의 유일한 한국인 물리학자라고 할 수 있죠.”장회익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와 민병일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고(故)김덕주 일본 아오야마가 ... ...
- Part 5. 깨끗한 공기를 지키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5~6월에는 미국항공우주국과 우리나라의 공동 연구팀이 한반도 대기질을 분석했어요(위 사진). 또 지난 해 11월에는 한국, 중국, 일본 환경과학원장들이 만나 2019년까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하기로 약속했답니다. #흠…, 지금은 공기 팔 생각을 할 때가 아닌 것 같군. 깨끗한 ... ...
- Intro. 값비싼 광물이 가득~ 해저 광산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나는야 광물 사냥꾼! 비싼 광물이 있는 곳이라면 지구어디든 달려가지! 그런데 날이 갈수록 광물 사냥이어려워지고 있어. 땅에 묻혀 있는 광물을 거의 다 캐버려서 쓸 수 있는 양이 얼마 남지 않았거든.그러던 어느 날, 희소식이 들려왔어. 바다 아래에서 광물이 많이 묻혀 있는 지역이 발견됐다는 ... ...
- Part 3. 해저 광구 탐사, 무인잠수정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좋아! 이제 나도 저 아래 바닷속 광물을 캐기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어!아, 그런데 해저 열수분출공 주변 온도가 300℃가 넘는다는데….직접 내려가기엔 너무 뜨겁고…, 어떻게 광물을 캐지?잠수정을 정밀하게 조정하라!바다 2000m 아래 열수분출공은 사람이 직접 들어가기 힘든 곳이에요. 그래서 사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우리나라 최초의 로봇 애니메이션 ‘로보트 태권브이’의 주인공들이 ‘브이센터 더라이브뮤지엄’에 전시돼 있다는 소식이 도착했어요. 태권브이의 탄생부터 출격까지 생생하게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기자단이 놓칠 수 없겠죠?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대표 로봇 캐릭터를 함 ... ...
- [포토 뉴스] 초고속 진공 열차 ‘하이퍼루프’ 테스트 현장 첫 공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동체를 부상시켜 주행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속도를 시속 1200km까지 낼 수 있다. 사진은 하이퍼루프의 작동을 테스트하기 위한 튜브(지름 3.3m)로, 모두 연결하면 길이가 500m에 이른다. 하이퍼루프원 사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인터뷰를 하기 위해 들어선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의 사무실 한쪽 벽면을 차지하고 있는 TV에는 희한한 그림이 띄워져 있었다. 편평한 금속판 위에 작은 나뭇가지 같기도 하고 솔잎 같기도 한 것이 박혀 있었다.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물었다. “수소에너지 연구를 하신다고 들었는데요. 저 ... ...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전기자동차의 핵심 기술은 배터리다. 한 번 충전으로 얼마나 달릴 수 있는지가 전기자동차 성능의 척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휴대전화 배터리 폭발 사건으로 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졌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휴대전화 배터리보다 1000배 이상 용량이 큰 배터리를 사용하기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발달 했다고 주장했다.현대에 와서 음악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시도로 음악치료가 생겼다.사진은 미국 상이군인들의 음악치료 장면. 자장가는 다양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인데, 대개 리듬이 아이가 잠을 자는 요람의 흔들림을 닮았다. 그리고 아기 요람의 흔들림과 비슷한 특징, 즉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