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린 파커 교수는 군집로봇의 연구 추세를 정리한 논문에서 “확실히, 몇몇 응용 분야에서는 군집 로봇이 더 나은 해결방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군집로 봇의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지상훈 한국생산기술연구 원 로봇연구실용화그룹 책임연구원도 “주변이 복잡한 실외에서 로봇 한 대가 임무를 ...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갈라져 나왔는지도 이를 통해 계산해냈습니다. 기무라의 방정식은 수학과 생물학의 융합분야인 ‘수리생물학’의 토대를 이루고 있습니다.생태학에서도 의외로 수학이 폭넓게 쓰이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세렝게티 초원에 사자 10마리와 얼룩말 100마리가 있다고 생각해 보죠. 다른 조건을 모두 ...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차세대 에너지, 그리고 양자물질 등의 신물질 분야도 개척하고 있다. 모두 미래가 유망한 분야다. DGIST는 젊다. 연구본부가 세워진 것도 21세기고, 대학원이 생긴 것은 불과 3년 전이다. 그리고 올해 처음으로 학부신입생을 받았다. 과학기술의 성과는 투자와 시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제 막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각오해야 될 걸?학부 때는 기초 지식과 다양한 재료들을 넓게 배우기 때문에 아무리 분야를 좁혀가며 공부를 해도 깊이 있는 내용을 알기가 어려워.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지!Q&A 신소재공학과는 새로운 소재만 연구하나요?절대 그렇지 않아! 물론 아직 실용화되지 않은 첨단 재료도 ...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모르는데 어떻게 쓰고 있냐고요? 실제 현상과 상당히 일치하거든요. 그래서 공학 분야, 즉 비행기 날개를 설계할 때나 자동차를 유선형으로 디자인할 때, 날씨를 예측할 때 등에 아주 유용하게 쓰고 있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 과학과 ‘썸’탄 수학 6❶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무공을 더 닦을 때인 것 같다. 세 분야는 각기 장점과 단점이 있고, 어느 한 분야도 다른 분야를 압도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무협 영화라고 단 한 명의 영웅만 탄생하는 것은 아니다. 영웅들이 서로 무공을 가르쳐주며 같이 성장하기도 하고, 때로는 힘을 합해 공통의 적을 물리치기도 한다 ...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하는 김에 주기적으로 받는 건강검진도 받았다. 하우스 박사는 외과 전문의이자 심리학 분야의 권위자였다. 사람들은 처음 화성 탐사 계획을 세울 때, 좁은 공간과 지구와 전혀 다른 외부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에 대원간에 다툼이 발생할까 봐 걱정했다. 하우스 박사가 대원에 포함된 것은 그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발전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번 기회에 한국 정부에서 기초과학 분야를 더욱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면, 분명히 필즈상이나 노벨상 수상 같은 좋은 성과로 이어질 겁니다.젤마노프 교수의 말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이 많이 유학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한국 수학자들의 실력을 잘 ...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지난 대회 시상식에서 “물리학과 수학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라며 “다른 분야의 과학자나 공학자와도 교류해야 수학을 잘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올해는 과연 누가 필즈상을 받을까.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공식후원 매체인 ‘수학동아’에서 필즈상 수상자를 예측 하기 위해 서울대와 ...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주 빠르게 대답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게다가 이 연구 방법들은 순식간에 다른 분야로 퍼져나간다. 초파리는 신경과학자들에게 빼놓을 수 없는 모델종일 수밖에 없다. 1910~60년, 50년 동안 만든 초파리 유전학 연장통들이 신경생물학에서 대부분의 발견을 이끌었고, 1960~2010년 50년 동안 만든 초파리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