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혼자 두고 나갈 때마다 심술 부려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돌고, 다시 문을 긁는 등의 행동을 반복했다는 겁니다. 강아지가 이런 행동을 보이는 건 분리불안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인이 외출 시 집안을 어지럽히는 행동만으로는 분리불안증이라고 판단할 수 없고, 25분 이상 길이의 동영상을 통해 행동분석을 해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막상 ...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설명도 들었어요. 이런 부분들 모두 매력적이었지만, 제가 DGIST 진학을 결정하게 만든 건 학부전담교수제였답니다.” 진 씨는 많은 대학교 중 DGIST를 선택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진 씨는 고등학교 시절 1학년 담임교사로부터 3년 내내 많은 조언을 들었고, 이런 조언이 자신의 진로에 큰 도움이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암벽 등반과 요가를 즐기는 스포츠 마니아입니다. 학회에서도 먼저 수학자들에게 인사를 건네는 활발한 성격이랍니다. 윌리엄슨 교수 역시 필즈상 0순위인 페터 숄체 교수와 마찬가지로 기조강연자로 브라질을 찾습니다. 2014년 필즈상 수상자 중 두 명이 그해 대회 기조강연자였습니다. 이번 ...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만드는 데 오래 걸렸지만 뿌듯했어요. "- 3학년 손주석 수학 체험이 중요한 건 수학에 재능이 없다고 생각한 학생도 자신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학자의 꿈에서 수학 성적이 가장 좋았던 두 학생이 수학 구조물 만들기는 잘하지 못했다. 오히려 수학 성적이 낮은 학생이 수학 ... ...
- Intro. 필즈상 받는 과학, 노벨상 받는 수학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주는지 한번 들어보실래요? 미리 말해두지만, ‘수학의 날’이 없다고 투정부리는 건 아니에요! 과학의 날★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만든 법정기념일. 일제강점기 때는 찰스 다윈의 사망일인 4월 19일이었다가, 1967년 과학기술처가 중앙행정기관으로 독립한 날인 4월 21일로 바꿨다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어떤 현상과 관련된 변수를 설정하고 실험 데이터를 이용해 방정식을 만들지요. 초기 조건이 바뀌면 방정식의 해가 바뀌는 것처럼 모델링을할 때도 어떤 가정을 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방정식이 나옵니다. 이런 방정식의 해를 정확하게 구하는 경우는 없지만, 어떤 변수가 해에 큰 영향을 주는지는 ... ...
- [시사과학 뉴스] 전세계는 지금 비트코인 열풍!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의해 올바른지 점검되죠. 그러니 이 수많은 컴퓨터를 10분 안에 동시에 조작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답니다. 암호화폐가 진짜 화폐를 대체할 수 있을까? 암호화폐는 이미 실제 돈처럼 사용되고 있어요. 미국의 한 프로그래머가 2010년 5월 18일 비트코인 1만 개(당시 약 4만 8300원)로 피자 2판을 처음으로 ... ...
- [과학뉴스] 공감능력 떨어지는 건 유전자 탓?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능력도 타고나는 걸까. 최근 유전자가 인간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최초로 나왔다. 사이몬 바론-코헨 영국 케임브리지대 자폐증연구센터장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진은 사람의 공감능력 변이의 약 10%가 유전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중개 ...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강석기_kangsukki@gmail.com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2012년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5권)’ ‘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가 있고, 옮긴 책으로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외부 자극에 강하기 때문에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 DNA를 메모리로 처음 활용한 건 2012년이었다. DNA 합성 연구로 유명한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은 65만8750바이트 분량의 책 정보를 DNA에 저장하는 데 성공했다. 처치 교수는 자신이 쓴 ‘재생: 어떻게 합성생물학은 자연과 우리를 새롭게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