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뉴스
"
자연
"(으)로 총 4,82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3차원에선 황금비보다 플라스틱수가 더 이상적이다
수학동아
l
2019.07.20
먼저 크기 차이를 인식한 뒤 이들을 순서대로 정렬하는 과정이 머릿속에서
자연
스럽게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두 정육면체의 크기가 다르다고 느끼게 만드는 가장 작은 모서리 길이의 비는 얼마일까요? 란은 실험을 반복해 통계를 낸 결과 1.32471…이라는 수를 얻었습니다. 란은 이 수가 ... ...
암환자 영양·면역력 높이는 식용곤충 효능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결과 고소애를 먹은 환자들이 2.4% 더 좋게 나타났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면역세포인
자연
살해세포(NK세포)와 세포독성 T세포 활성도도 고소애를 먹은 환자에게서 각각 16.9%, 7.5% 증가했다. 박준성 교수는 "암 수술을 받은 뒤에는 상처를 치유하고 체력 회복을 위해 필수아미노산 함유가 높은 ... ...
과기원·대학 학생회 “전문연구요원제 감축 철회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제도는
자연
계 석사 이상 학위 취득자가 정부출연연구소, 방위산업연구기관,
자연
계 대학원에서 3년간 일하며 병역의무를 대체하는 것이다. 이들은 “2017년 중소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전문연구요원 제도가 유발하는 산업·경제적인 이익은 4632억 원에 이르고 전문연구요원 한 명이 9억 200만 원의 ... ...
[제6회 과기장관회의] 미세플라스틱 문제해결 범정부 협의체 내년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충격을 줬다. 정부는 미세플라스틱이 육상, 해양 등
자연
환경 외에도 산업 분야에서도 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과 사회정책을 연계해 범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사회 불안을 해소하고 ... ...
[KSF2019] '초소형위성'에 추진장치 붙여 우주쓰레기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계획인 ‘스타링크’를 발표하는 등 궤도를 돌게 될 위성의 수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자연
적으로 처리되는 위성보다 더 많은 수의 위성이 궤도를 가득 채우면서 우주쓰레기 문제가 점차 현실화되는 것이다. 우주로테크는 초소형위성의 벽면에 부착하는 신개념 추진기관을 개발하고 있다. ... ...
빛·물질 상호작용 제어 성공…신개념 디스플레이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진행되지 않고 물체 표면에 국소화된 빛을 말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경덕
자연
과학부 교수가 미국 콜로라도대와 메릴랜드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빛과 물질 사이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관찰하는 신개념 나노현미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반도체 내에서 ... ...
[주말N수학] 실현 가능한 수를 찾아라
2019.07.13
풀이를 공개했습니다. 만털이 만든 이 문제의 답은 , 즉 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자연
수입니다. 이 정리대로 점과 선분을 그리는 방법은 찾기 쉽습니다. 편의상 이 짝수인 경우만 생각해 보기로 하지요. 개의 점 중 딱 절반인 개의 점을 골라서 빨간색으로 칠하고 나머지 점들은 파란색으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중요한 성과 중 하나는 이 세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로 대단히 많은
자연
현상을 설명해 왔다는 점이다. 만물의 아르케를 추구하는 작업은 21세기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탈레스는 철학책을 쓴 러셀이 불만스럽게 “철학자보다는 오히려 과학자로서 존경해야 ... ...
7월 과학기술인상에 신관우 서강대 화학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주요 단백질들을 추출해 인공적으로 만든 세포막에서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며
자연
에서처럼 에너지를 스스로 만드는 최초의 인공세포를 만들었다"며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생화학적 원리와 현상을 세포와 유사한 공간에서 실험으로 구현한 성과"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신관우 교수팀이 만든 ... ...
병원균 단백질 구조만 바꿨을 뿐인데…내성·독성 없는 항생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9일자에 발표했다. 항생제는 세균이 다른 세균과 경쟁해 우위를 점하기 위해
자연
적으로 내놓는 물질이다. 사람은 이 항생물질을 약으로 개발해 병원균에 감염됐을 때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현재 병원에서 사용하는 항생제는 대부분 1970년대 개발된 것이다. 이들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더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