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성
성취
만료
뉴스
"
완료
"(으)로 총 2,54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개발 에볼라 진단키트 유럽 인증
완료
2014.12.07
CE인증과 더불어 식약처 수출용 허가까지 모두 통과해 수출을 위한 인증을 수월하게
완료
함으로써 내년 수출 실적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
한국제 만성 폐질환 치료제, 미국서 임상 2상 시작
2014.12.04
기업과 공동으로 만성폐질환에 효과가 좋은 천연물 신약을 개발했다. 임상실험이
완료
될 경우 세계 폐질환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세량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은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산꼬리풀’에서 발굴한 천연물로 개발한 ... ...
한국뇌연구원 신청사 4일 준공
2014.12.03
한국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이 4일 오후 2시 대구 동구 첨단로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 내에 세워진 신청사의 준공식을 개최한다. 신청사는 뇌의 모양을 따서 각각 좌뇌와 우뇌를 상징하는 두 건물로 이뤄졌다. 이중 좌뇌에 해당하는 건물이 지난해 2월 4일 착공해 이번에 1단계 준공된 것 ... ...
미래 에너지 ‘핵융합’, 한국 부품으로 첫 단추
2014.12.02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핵융합연 측은 “ITER 참여국 가운데 가장 먼저 조달을
완료
해 초전도 도체 제작 분야에서의 기술력이 세계 정상급 수준임을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 ITER 사업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 ...
탱크와 헬기 싣고 적진 돌격… 한국형 새 ‘상륙함’ 취역
동아사이언스
l
2014.11.30
발사대를 싣고 있어 적의 유도미사일 공격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모인다. 다만 개발
완료
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예정이다. ●'제2의 독도함'도 건조 계획도… 한국군 상륙능력 극대화 방사청은 2020년까지 독도함의 후속함 ‘마라도함’도 건조할 계획이다. 기존 독도함에서의 운용상 문제점을 ... ...
100배 빠른 인터넷 기간망 국산화 기술 개발
2014.11.26
핵심부품은 현재 기술 이전을 받은 국내 기업이 중국 글로벌 장비업체에 공급시험을
완료
하고 납품계약 체결을 진행 중이며, 소비자를 위해 100배 빠른 광가입자용 기기를 생산하는 연구소기업을 창업할 예정이다. 정현규 ETRI 통신인터넷연구소장은 “중소 장비업체와 협업해 가입자망부터 ... ...
iPS세포에도 성별 차(差) 있다
2014.11.16
만능성이 나타나는 데는 남성 체세포와 똑같이 9일이 걸렸지만 X 염색체 재활성화까지
완료
되는 데까지는 총 30일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도 교수는 “여성 체세포를 역분화하려면 넘어야 할 장벽이 하나 더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성과”라며 “역분화 과정에서 X 염색체와 관련된 RNA의 ... ...
北 잠수함 미사일을 두려워 해야 하는 까닭
2014.11.03
안에 골프급 잠수함의 건조를 마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SLBM 미사일 개발도 거의
완료
하고 1~2년 이내에 개발을 마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올 들어 지상에서 SLBM의 가상 발사 실험을 수십 차례 실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이 SLBM 전력화에 생각하면 한반도 역시 핵공격 우려를 감수해야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쓰여 국내 석조물 복원에도 비슷한 방식의 나노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2010년 복원
완료
된 불국사 다보탑에는 에틸알코올에 석영(실리카) 입자를 섞어 만든 ‘에틸실리케이트’가 많이 쓰였다. 필요에 따라 다보탑의 재질과 동일한 응회암 가루를 더 섞기도 했다. 다보탑은 오랜 세월 자연에 ... ...
비글 뼈, 5주 만에 재생
완료
2014.10.14
국내 연구진이 성장인자의 전구약물을 세포막을 잘 통과하는 전달체와 결합해 세포 내에 성장인자를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연세대 치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조직 재생을 돕는 ‘성장인자’를 원하는 부위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세대 치대 김희진, 육종인, 김남희 교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