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념
사상
이념
생각
취지
표상
의미
뉴스
"
개념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2015.01.07
형광체 없이 다양한 빛을 내는 발광소자 등 기존 방법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신
개념
광원과 광제어 기술을 독창적으로 구현한 업적을 인정 받았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과학기술자의 사기진작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사람을 발굴·포상하는 제도로 1997년 ... ...
‘CES 2015’ 하이라이트는 가전이 아닌 자동차?
동아닷컴
l
2015.01.06
Q7을 전시한다. 벤츠는 ‘에코럭스(Ecoluxe)’라는 새로운 전기차 플랫폼 하에 개발된 신
개념
콘셉트카를 공개한다. 지난달 말 포착된 차량의 스파이샷을 통해 벤츠가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2019년 4종의 신차를 선보인다는 외신들의 보도가 전해진 바 있다. 한편 CES는 미국가전제품제조업자협회(CEA)에서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현혹시킨다고 우려하며 물리학자들은 “무한은 수학적 완결성을 위해 필요한
개념
이지만, 물리 세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말을 유념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글 말미에 필자들은 학술지 편집자들에게 당부의 말을 남겼다. 즉 실험적으로 테스트할 방법이 없는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확률을 나타낸다. 이제 질문이 끊이지 않아야 정상이다. 대체 무엇 때문에 확률이라는
개념
이 나와야 하는 것일까? 전자가 정말로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지나나? 그렇다면 하나의 전자가 둘로 쪼개졌다가 다시 하나가 되는 것인가? 이런 어려운 질문들에 대한 답은 앞으로 하나씩 짚어보겠다. 일단 ... ...
DNA 도움 없이 단백질이 직접 아미노산 만들어
2015.01.04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센트럴 도그마)’로 알려진
개념
으로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낸 프란시스 크릭이 1958년 제시한 뒤 오늘날까지 생물학 교과서에서 핵심원리로 다뤄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미국 연구진이 중심원리를 뒤흔드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
[신나는 공부]“학부모와 독서토론하고 학급 경계 뛰어넘어요”
동아일보
l
2014.12.23
창의적 체험활동인 ‘무지개 체험학습’이 실시되는 금요일 1∼3교시에는 ‘학급’의
개념
이 사라진다. 먼저, 각 학급 학생들은 4명 또는 5명으로 그룹을 만든다. 그룹명을 무지개 색인 빨강, 주황, 노랑, 초록 등 7개로 정해 7개 그룹을 형성하는 것. 각 그룹은 1∼7반으로 흩어진다. 빨강 그룹은 1반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다르므로 신경회로의 배선을 전혀 다르다는 말이다. 에델만의 신경다윈주의는 복잡한
개념
이라 아직 결론적인 평가를 할 수는 없지만 신경가소성 등이 발견되면서 힘을 얻고 있다고 한다. 1981년 스스로 만든 ‘신경과학연구소’에서 일하며 에델만은 대중을 위한 뇌과학 교양과학도서도 여러 권 ... ...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 같은 메탄올 연료전지
2014.12.17
점을 확인했다. 성 그룹리더는 “중금속 제거와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신
개념
연료전지 개발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연료전지의 낮은 성능과 장기구동 시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메탄올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 ...
햇빛만 있으면 CO₂로 메탄올 얻는다
2014.12.15
녹색원천기술”이라며 “앞으로 태양광을 이용해 의식주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
의 상용화 가능한 태양광 공장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성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널 ‘JACS’ 지난달 1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제공 국내 연구팀이 화학적 성질이 완전히 다른 물질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신
개념
나노복합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조진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은 물과 기름처럼 극성의 유무 때문에 서로 섞이지 않는 물질을 넘나들 수 있는 다기능성 나노복합체를 개발했다고 11일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