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진형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쓸모없는 이론으로 변한다. 따라서 하나의 방법론으로 인공지능을 완성하려는 것은 금방
한계
에 부딪치고 만다는 것이다.이와 관련 그는 '방법론' 보다 '다루는 문제'를 더 중시하는 새로운 흐름에 주목한다. 어떤 방법론이 옳으냐 하는 추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계에 지능을 불어넣어 하려는 것이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요즘 들어 많이 바뀌기는 했지만 3시간에 5문제를 풀도록 요구하는 환경 아래에서는
한계
가 있게 마련이다.컴퓨터 프로그램을 짠다는 가장 기본적인 사실이야 다를 바 없지만 논리적인 구성과 창조적인 발상,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력이 요구되는 문제라는 점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 ...
(2) 다양한 방법론간 경쟁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논리언어 퍼지이론 신경망 전문가시스템 문자인식 등 인공지능에 이르는 다양한 방법론이 현실적인 문제를 풀기 위해 서로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들 ... 이 모든 것이 조금은 과장되어 보일지 모르지만 그렇지 않다. 컴퓨터의 발전은 인간 상상력의
한계
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로봇은 여러가지 다양하고 융통성있는 작업에
한계
를 가지고 있었는데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엄청난 속도로 개량되고 있다.일본에서는 많은 단순작업이 로봇의 손에 넘어가고 있으며 심지어는 로봇의 조립까지도 로봇이 맡아서 하고 있다. 전쟁에서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형성된다고 한다. 이러한 지도의 모양은 각각의 냄새에 따라 전혀 다른 성격의
한계
순환 끌개의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이다.후각신경구가 혼돈의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끌개의 양상이 새롭게 형성되면서 그 냄새에 특이한 반응을 하는 아주 새로운 물리계를 구성했다고 볼 수 있다. 혼돈과학적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붕괴되는 것을 말한다) 혹은 그 이하의 방사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스웨덴에서는 그
한계
가 1천5백베크렐이다.체르노빌사고가 있은 지 8개월 후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일부에서는 순록의 고기가 7만베크렐의 높은 값을 나타냈고, 몇 지역에서는 13만7천베크렐까지 치솟았다. 오염된 순록의 고기는 ... ...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분포하고 있는 냉대기후지역은 시베리아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기후지대로 농업에는
한계
가 있으나, 풍부한 타이가림과 이에 따른 삼림생산물로 세계적인 자원의 보고가 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목재 펄프공업의 중심을 이루며, 최근에는 지하자원의 개발이 활발하다. 냉대기후지역 남쪽은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배율이 높아질수록 상의 콘트라스트는 높아져가지만 구경이 작아지면 그만큼 볼 수 있는
한계
가 주어지므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장비에서 고배율쪽을 선택하는 것이 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방법이다. 배율을 높이면 그만큼 보이는 면적이 작아져 좀 큰 대상의 관측이 곤란하지만 접안경으로 ... ...
4. 이상뇌파로 질병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살피는 것이 몇몇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은 분명하나 여기에는
한계
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첫째로 정상적인 뇌파가 나타난다 할지라도 그것이 뇌질환이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둘째로 뇌파검사상 이상이 없다고 하여 간질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즉 ... ...
과학자 264명 UN 환경개발회의에 반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집단이기주의로도 읽힌다. 그러나 서명자들 중에는 1972년 최초로 발전 위주 성장의
한계
를 지적했던 로마클럽의 과학자들도 있으며 20년전 스톡홀름의 UN인간환경회의에서 생태학의 기치를 높이 들었던 사람들도 있다.결국 하이델베르크 성명서는 편견에 사로잡힌 몇몇 과학자들이 꾸민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