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어지고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앞날은 매우 긍정적이란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일례로
전문가
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플렉시블 전자종이’(Flexible E-Paper)에도 터치스크린이 기본적으로 내장될 것이라고 말한다.플렉시블 전자종이는 구부리거나 돌돌 말아서 들고 다닐 수 있어 휴대용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덕분에 누적 판매대수가 1억대까지 치솟았다. 현재 미국 시장의 80%가 아이팟의 몫이다.
전문가
들과 소비자들은 뛰어난 디자인을 성공요인으로 지적한다. 이는 회사 부사장이며 수석 디자이너이기도 한 조너선 아이브의 공이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디자인학과 소속의 ‘ID+IM’ 연구실을 ... ...
식물이 '흑기사' 부르는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7월 11일~13일 제주 서귀포시에서 개최한 ‘2007 첨단과학기술
전문가
회의’에서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의 마르틴 하일 교수는 “곤충이 잎을 갉아먹으면 식물이 자스몬산을 내뿜어 천적 곤충을 유인하는 휘발성 기체 분비를 촉진한다”고 주장했다.이제까지는 식물이 ... ...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마쳤을 때 대학원 세미나에서 독일 베를린공대에서 온 선박설계
전문가
를 만났어요.”이
전문가
가 베를린공대에서 그의 지도교수가 됐다. 그의 전공은 컴퓨터를 이용한 선형설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박의 경제성, 속도, 연료 효율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모양을 만드는 이 분야는 ... ...
악어와 사랑에 빠진 남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표현인 셈이다.브래디 바는 누구?1997년부터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에서 파충류
전문가
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15년간 50개국에 사는 악어를 조사하며 60여 편의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다. 앞으로 악어의 멸종 위기를 널리 알리는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 ...
가짜는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우리 귀에 들릴 만큼 크지 않은 소리가 필요할 때가 있다. 그래서 ‘폴리 아티스트’라는
전문가
가 진짜 뺨치는 가짜 소리를 만든다.손바닥과 우산으로 새 소리를 만든다고?폴리는 사람이 몸으로 움직여서 내는 모든 소리를 말해요. 영화 ‘클리프행어’에서 암벽을 탈 때 나는 크고 작은 소리를 ... ...
INTRO 환경기술 없이 장사 못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눈부신 성장을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전통적인 ‘굴뚝산업’의 준비도 만만치 않다.
전문가
들은 2100년이 되더라도 에너지원의 30%는 여전히 화석연료가 담당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따라서 화석연료에서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저장하는 기술이 신재생에너지의 거센 추격에 맞서는 ‘무기’가 될 ... ...
PART4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은 석탄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수소는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보내 가정용 난방이나 수송용 에너지로 사용한다. 현재
전문가
들은 퓨처젠 프로젝트로 이산화탄소를 90% 이상 줄일 수 있다고 예상한다.한편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전혀 배출하지 않는 꿈의 석탄화력발전소도 등장했다. ‘순산소연소’(Oxyfuel) 발전소가 주인공이다.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적다. 앞으로 연료전지의 쓰임새가 넓어지면 우리 생활도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전문가
들은 진단한다. 유 교수가 만든 고성능 촉매가 연료전지 분야에 응용될 경우 변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유 교수는 이외에도 CMK를 비롯한 나노 다공성 탄소물질의 용도는 무궁무진하다고 강조했다. ... ...
초록색 제국의 빛과 그림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있는 우리에게 큰 의미로 다가온다. 한 분야의
전문가
이기보다는 서로 다른 분야에서 준
전문가
로서 경력을 쌓고, 여러 학문 사이에서 맥을 짚어내는 ‘멀티태스커’가 환영받기 때문이다. 결국 자신의 분야에서 창의력을 원한다면 통섭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갑자기 새로운 길이 보이는 듯하다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