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관찰할 수 있다. 청계천이 변함없이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데는 이런 노력이 숨어 있는
셈
이다.“청계천에 사람들이 모이는 걸 보면 알겠지만 앞으로는 물의 시대가 될 것입니다. 스마트 리버는 하천의 위험 관리를 할 뿐 아니라 휴식과 레저의 공간으로도 큰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설익은 부분 없이 익힐 수 있다. 결국 도넛은 ‘도넛 모양’이라 빵 전체가 고르게 익는
셈
이다.베이글도 마찬가지다. 대개 빵을 만들 때는 반죽을 오븐에 넣고 높은 온도(220℃)에서 굽지만, 베이글은 반죽을 오븐에 굽기 전에 끓는 물에 한 번 데친다. 베이글도 가운데 부분이 두꺼우면 가장자리보다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살아 있다고 해도 이동경로가 휴전선에 막힌 이상 자력으로 살아갈 방도가 없는
셈
이다.그런데 국내의 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실제로 호랑이를 데려와 제한 구역 내에 방사하려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 연천군이 러시아에서 백두산 호랑이와 같은 종인 아무르호랑이를 들여와 군내 고대산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움직여야만하지 않을까. 달리기 기능은 그런 로봇이 가져야 할 기본적인 능력인
셈
이다.오 교수는 “걷고 달리게 된것은 인간형 로봇 연구의 시작에 불과하다”며 “이제부터 더 다양한 연구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대표 인간형 로봇 ‘휴보’를 만들고 있는 휴보센터. 이들의 ... ...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벽돌과 벽돌 사이는 지질성분이 메우고 있는데, 지질성분은 일종의 ‘모르타르’인
셈
이다.흡수촉진제는 지방산, 지방알코올, 계면활성제, 글리콜, 탄화수소처럼 지질성분과 친화력 있고 인체에 안전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것이 지질성분에 스며들어 세포 사이를 벌리기도 하고 직접 지질층을 ... ...
미녀가 드문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폭의 46%일 때 가장 예쁘다는 결과를 얻었다. 미녀의 조건이 되는 새로운 ‘황금 비율’인
셈
이다.연구에 참여한 캐나다 토론토대 강 리 교수는 “얼굴의 요소뿐 아니라 그 배치 역시 얼굴의 매력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평소 예쁘다는 소릴 듣던 사람이 헤어스타일을 바꾼 뒤 덜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숲은 매년 약 1만 5500㎢씩 줄어들고 있었어. 1시간에 축구장 270개 넓이의 숲이 사라지는
셈
이었지. 농사를 짓기 위해 나무를 베거나 숲에 불을 질렀기 때문인데, 이렇게 사라지는 숲이 지구 전체로 보면 매년 13만㎢이나 됐어.”이렇게 말하며 여우는 이 곳보다는 울창해 보이지 않는 다른 숲을 손으로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입체 이미지 처리 장치인 ‘리얼포토(RP) 프로세서’는 입체 이미지를 만드는 두뇌인
셈
이다.이보다 더 흥미로운 기술은 촬영된 사진의 입체감을 전달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다. 좌우 렌즈로 찍은 입체사진을 그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입체 디스플레이는 대개는 특수 안경을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실리콘 반도체가 전류를 흘렸다 차단했다 하는 것과 비슷하게 빛의 흐름을 제어하는
셈
이다. 양 교수는 “이런 성질 때문에 광결정은 ‘빛의 반도체’라고 불린다”고 말했다.실제로 광결정은 전자 대신 광자로 정보를 처리하는 광자컴퓨터의 핵심 부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광자컴퓨터는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조선 말 대표적인 수학자 남병길은 저서인 ‘산학정의(1857)’에서 원의 넓이를
셈
하면서 π를 3.1415926535로 계산했습니다. 이 값은 현대의 값과 거의 같지요.”“또한 남병길이 쓴 ‘구장술해’에는 원의 넓이를 직사각형으로 바꿔 구한 방법이 있습니다. 원을 삼각형 무한개의 합으로 생각해 넓이를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