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물
유력자
d라이브러리
"
성공한 사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복제에
성공한
적은 있지만 다른 속간 복제에
성공한
적은 한 번도 없다.공 교수는 “삵을 복제하기 ... 동물을 복제하는데 쓰일 수 있다. 특히 이번에
성공한
개 복제 기법을 같은 개과 동물인 한국산 늑대나 ... 1년에 불과 4개월 정도만 발정기에 이른다”며 “
사람
처럼 한달에 한개의 난자를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자리로 옮긴 것도 이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서였다. 정년이 더 길고, 월급도 더 많은 자리를 스스로 관두다니.
사람
들은 ‘외도’(外道)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에게는 ‘정도’(正道)였다. 연구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공동연구를 ... 결과에 흥미가 있다.예를 들어 아이가 넘어져 아파서 울면 엄마도 ... ...
사람
을 구별하는 귀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모양을 이용해
사람
을 구별하는 기술이 개발됐다.영국 사우스햄턴대 마크 닉슨 교수는 “귀를 ... 63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귀를 이용해 99.2%의 정확도로
사람
을 구별하는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귀를 이용한 생체인식 기술은 귀에 있는 ... 위치 등을 찾아내는 방식이었지만 이번 기술은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아니라 촉감도 전달하는 휴대전화다. 조롱박 모양의 손잡이 속에 든 작은 바이오센서가
사람
의 심장박동과 체취를 감지한다. 함께 들어있는 액츄에이터는 이들 정보를 진동이나 소리 ... 스타일을 연출한다.KHR-3 HUBOKAIST가 출품한 휴보도 이번 전시회에서 큰 주목을 끌었다.
사람
목소리를 구별하고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대표적인 것으로 ‘모델링’(modeling)을 꼽았다. 최근 배아줄기세포 복제에
성공한
황우석 교수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인
사람
을 진로선택의 모델(본보기)로 삼고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닮고 싶은 모델을 찾아라신 교수는 “스스로 ‘나는 누구처럼 훌륭한 과학자가 되겠다’는 식의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경쟁은 그렇지만은 않았음을 보여준다. 최초로 실용적인 타자기 개발에
성공한
사람
은 52번째 타자기 발명자로 기록된 미국의 크리스토퍼 라삼 숄즈였다.그는 밀워키 지방의 인쇄업자로 발명이 취미였는데, 1867년 친구인 칼로스 글리든과 사무엘 소울의 도움으로 타자기 특허를 획득했다. 이들이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만족하지만 직업에는 불만을 갖는
사람
들이 11.8%였으며, 반대로 직업에는 ... 것으로 파악된다. 돈과 명예를 든
사람
은 각각 3.1%, 0.4%에 불과했다.이공계 ... 고등학교 때 전공을 결정했다고 답한
사람
이 49.3%였으며 그 다음은 초등학교(25.3%), ... 과학기술인은 학과의 유망성을 꼽은
사람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지키며 공화국으로 오는 중에 두
사람
은 사랑에 빠진다. 오비완은 분리주의 ... 멈추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사람
을 벨 만큼 강한 힘을 갖겠느냐”고 ... 광선총에서 나온 레이저(빛)를
사람
의 신경반응 속도로 막아낼 수야 없는 ... 셈이다.장 교수는 “우주선 안에서
사람
들이 너무나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을 우주로 방출시킨다. 다층박막단열재는
사람
의 옷과 같은 역할을 해 외부 열 유입을 차단한다.아리랑 2호는 궤도에 진입하면 몸체 양 옆으로 태양전지판을 편다. 육각기둥 모양의 몸체는 지름 2m, 높이 2.8m로 일반 성인의 키를 훌쩍 넘는데,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전자기파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장담하지 못했다.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한
사람
이 독일의 헤르츠였다.헤르츠는 대륙에서 교육받았기 때문에 영국의 장 개념에 익숙하지 못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의 스승인 헬름홀츠가 원격 작용이라는 대륙적 틀 안에서 맥스웰의 이론을 통합하려고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