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Cephalosporium)이란 세균의 배양액으로부터 문제의 세팔로스포린 C(Cephalosporin C)가
분리
됐다. 세팔로스포린 C의 항균력은 흡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었다. 하지만 페니실리나제를 생성하는 포도상구균을 죽이는 '장기'를 갖고 있었다. 게다가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페니실린보다 월등하다는 점이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추진되며 그후 마하 6.6까지는 램제트로 추진되는 유인하단비행체는 호러스를
분리
시킨 후 공항으로 수평착륙한다. 상단비행체는 승객 4명과 화물 3t을 실을 수 있는 유인비행체 HORUS-M형식과 7.5t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 HORUS-C형식이 있는데, 모두 로켓엔진으로 궤도에 진입하여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한 무한정의 지원공세다. 바닷물보다 8배나 짠물에서 사는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분리
해 이용할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는 이 연구는 당장 돈이 되는 연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일본정부의 지원은 아낌이 없다.기초과학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인 투자는 응용기술의 한계를 체험했기 때문이라는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일컬어지는 연구주제일수록 이런 경향은 더 강하게 나타난다. 20C에 기계공학으로부터
분리
된 항공공학은 공학의 거의 전 분야가 망라되는 대표적인 예. 한국항공기술연구소의 홍용식소장은 "흔히 항공기를 만드는 일은 항공공학과가 전담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비행기 한대를 만드는데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액화시키는 과정에서 수분이나 탄산가스 그리고 부식을 일으키는 황 금속성분을
분리
시키지 않으면 극저온에서 액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무엇보다 순수성이 요구된다.5. ③ 1952년 12월에 있었던 런던스모그사건은 하천평지에서,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 기온이 역전돼 안개가 발생함으로써 일어났다.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집에 가지고 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 무게도 무게려니와 본체와 키보드와 모니터의 3개로
분리
된 짐(책상위에 놓이면 컴퓨터지만 이동할때는 짐으로만 여겨진다)을 들고 다니기에는 손이 부족하다는 생각만 들었다.하지만 노트북에서는 이러한 점이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3㎏내외의 무게일뿐만 ... ...
좁혀지는 인간과 침팬지의 사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발견했다. 이 발견은 어쩌면 침팬지와 인간이 함께 분단의 벽 한쪽에 서서 고릴라와는
분리
되어 있다고 볼 수있는 첫번째 신호가 되었다.물론 많은 생물학자들은 이 교차반응 결과를 받아들이기를 꺼려하면서 과거의 믿음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서서히 실제 유전자를 분석하는 법을 깨닫기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정수하는 공정이나 생물학적 폐수처리공정중 침전물의
분리
, 또 폐수 중 유기물질의
분리
회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분해되는 플라스틱 개발20세기 중반 나일론이 발명된 이후 수많은 합성고분자들이 발명돼 사용되고 있다. 자연계에서 만들어지는 전분 셀룰로오스 단백질과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혈구를
분리
해 얻기도 하고 PFC와 인조적혈구를 만들어 이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혈구
분리
술과 인조적혈구 제조기술은 둘다 큰 약점을 안고 있어 실용화하는데 난관이 많다. 즉 전자는 보관이 어렵고 후자는 독성이 강하다. 그래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PFC를 널리 이용하는 추세다.박영우박사는 "PFC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들의 연구결과를 자세히 소개했는데 그 골자는 이른바 냄새수용체를 세계최초로
분리
해낸 것이다. 그들은 이 생소한 수용체가 오직 코에만 존재하고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우리는 냄새수용체와 관련된 수백개의 유전자를 이미 확인했다"고 악셀박사는 얘기한다.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